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현대시 교육에 대해 국어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지향해야 할 시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시의 수용과 창작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오랫동안 문학교육의 목표는 문학작품의 이해와 감상이었는데, 시 교육 방법에 대해 별다른 성찰없이 시교육이 이루어지면서 단편적․분석적인 시교육을 양산했으며, 이것은 곧 시를 ‘어려운 장르’, ‘싫어하는 장르’로 만드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또 이런 관점은 시 쓰기의 어려움을 강조함으로써 창작교육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시 감상 교육에 있어서도 단편적인 지식 중심의 시교육이 이루어지면서 주체적인 시 감상은 사라져버렸다. 이런 점에 대한 반성을 통해 최근 시교육에서는 의미있는 변화를 일구어내고 있다. 학생들의 다양하면서도 주체적인 감상 활동을 강조하고 창작 교육을 강조한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전체적인 감상 위주의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아직도 시 읽기 활동, 시 해석 활동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창작교육도 지나치게 개작 시, 모작 시 쓰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시 읽기 과정을 중시하는 학습 활동과 단계화된 시 창작 교육을 강조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지속함으로써 학생들이 시를 즐기면서 읽고 감상하고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시 교육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etry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activity of the Korean text book and arguments the right course of the poetr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oetry reception-production. The poetry education was made fragmental, analytic through the unreflected thought. It was emphasized that the poetry writing was very difficulty and the creation education was abnormal. The autonomy of the appreciation and the creation education recently are value highly. But the poetry reading activity is still deficient. This study propose that we emphasize process of poetry reading in learning activity and classify the poetry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oetry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activity of the Korean text book and arguments the right course of the poetr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oetry reception-production. The poetry education was made fragmental, analytic through the unreflected thought. It was emphasized that the poetry writing was very difficulty and the creation education was abnormal. The autonomy of the appreciation and the creation education recently are value highly. But the poetry reading activity is still deficient. This study propose that we emphasize process of poetry reading in learning activity and classify the poetr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