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문학 지식이 지니는 성격은 무엇이고, 그것은 또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가 하는 질문에서 비롯된다. 이는 문학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지식이 국어교과학적으로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먼저 문학 작품을 가르칠 때 다루는 지식은 무엇인지를 문학 교재를 통해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 문학 지식은 텍스트적 지식, 콘텍스트적 지식, 메타텍스트적 지식으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지식들의 의사소통적 효과를 살피기 위해, 의사소통을 기능적 의사소통과 문화적 의사소통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텍스트적 지식은 기능적 소통 효과에 가장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경로로 우선 의사소통의 유창성 강화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시의 일부 구절을 인용하고 인유하거나, 널리 공유된 소설의 인물형을 빌어 언어적 소통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이다. 또한 텍스트적 지식은 정련된 문화적 유산을 공유한 공동체 구성원들끼리의 유대감이나 동질감을 형성하게 해 주기 때문에, 문화적 의사소통 기능에도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지식이다. 콘텍스트적 지식은 의사 소통에서 교양적 자질을 강화함으로써 질적 고급화를 도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작가와 독자, 독서 환경 등 텍스트의 소통과 관련된 제반 변인에 관한 문학사적 사실은 통시적 문화 양태이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의 역사적 실체에 대한 앎을 공유하고 있음을 말해준다는 점에서 문화적 정체성의 한 지표로 기능할 수도 있다. 때때로 콘텍스트적 지식은 메타텍스트적 지식과 결합하여 공시적 문화 양태를 이해하는 틀로 활용될 수도 있다. 기능적 의사소통 차원에서 메타텍스트적 지식은 이해와 표현의 양방향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메타텍스트적 지식은 전이성이 높은 방법적 지식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다. 메타텍스트적 지식은 현실의 공시적 문화를 이해하는 인식의 틀로서도 활용된다. 미디어 교육에서 주요하게 취급되는 주요한 질문들이 모두 시나 연극, 혹은 여타의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방법에서 비롯되었다는 입장에 서면, 문학의 메타텍스트적 지식이 지닌 전이성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문학 지식은 문학의 향유에 필요한 지식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일상적인 의사 소통 현상을 실천하고 경험하는 데에도 동원될 수 있는 유효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학 지식의 의의는 언어교육의 영역에서도 매우 커다란 비중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This paper stemmed from the question, what is the property and value of literary knowledge and what is the value. This question is which phase and function the literary knowledge have. To answer to this question, all of literary knowledge in literature textbook was compiled. These knowledges could be distributed into 3 classes ; the knowledge of text, context, meta-text. The knowledge of text is that of literary text itself. It builds up fluency of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ase of quoting a phrase of literary text or a character of story. It is also able to make the members of cultural community confirm and reinforcement the unity or identity. The knowledge of context is that of context of literature, the writer and reader, literacy environment and the other. It is the diachronic cultural background called out by learners as speaker and writer in their communication situation. So it is a marker of cultural identity. It also can be used as the frame or schema in which the communicator comprehend the synchronic aspect of culture. The knowledge of meta-text is the conceptual knowledge required to explain literary text. Its function to both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its high degree of transference. The leaner as consumer of media can use it as the frame or schema of media language. Literary knowledge is also useful in not only literary education but also language education, because it can be used to ordinary communi- cative situation.


This paper stemmed from the question, what is the property and value of literary knowledge and what is the value. This question is which phase and function the literary knowledge have. To answer to this question, all of literary knowledge in literature textbook was compiled. These knowledges could be distributed into 3 classes ; the knowledge of text, context, meta-text. The knowledge of text is that of literary text itself. It builds up fluency of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ase of quoting a phrase of literary text or a character of story. It is also able to make the members of cultural community confirm and reinforcement the unity or identity. The knowledge of context is that of context of literature, the writer and reader, literacy environment and the other. It is the diachronic cultural background called out by learners as speaker and writer in their communication situation. So it is a marker of cultural identity. It also can be used as the frame or schema in which the communicator comprehend the synchronic aspect of culture. The knowledge of meta-text is the conceptual knowledge required to explain literary text. Its function to both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its high degree of transference. The leaner as consumer of media can use it as the frame or schema of media language. Literary knowledge is also useful in not only literary education but also language education, because it can be used to ordinary communi- cative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