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학생의 화법수행에 나타나는 중요한 지표를 양화한 판별함수를 활용하여 화법능력을 대규모로 직접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111명의 자기소개대화를 분석하여 피조사자의 화법능력을 가장 잘 판별해 주는 판별함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화법능력 판별함수의 정준상관계수는 .652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2). 그리고 높은 분류정확률을 가진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화법능력 판별함수는 학생들의 화법능력을 대규모로 직접평가하는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갈래별·연령별·상황별 화법능력 판별함수를 도출하면, 화법수행에서 보이는 몇 가지 주요 지표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수의 학생들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직접평가할 수 있다. 둘째, 화법능력 판별함수가 타당하게 도출되기 위해서는 대화갈래별 갈래관습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화법능력의 본질과 구조에 관한 과학적인 규명이 계속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화법능력 중에서도 형식보다는 내용이,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이,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이 상대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부분적으로나마 증명하였다. 갈래별·연령별·상황별 화법능력 판별함수를 도출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iscriminant function as a large scale direct evaluation method of oral communication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elf-introduction dialogues of 111 university students.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this study induced the discriminant function that discriminate optimally the oral communication ability of students. The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is discriminant function was .652,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2). Also the hit-ratio of this function verifi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n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next; First, the discriminant function that induced like this study can be a large scale direct evaluation method of oral communication ability. Second, the conventions of diverse conversation genres should be explored to induce discriminant function that have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Third, studies on the nature of oral communication ability should be continu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iscriminant function as a large scale direct evaluation method of oral communication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elf-introduction dialogues of 111 university students.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this study induced the discriminant function that discriminate optimally the oral communication ability of students. The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is discriminant function was .652,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2). Also the hit-ratio of this function verifi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n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next; First, the discriminant function that induced like this study can be a large scale direct evaluation method of oral communication ability. Second, the conventions of diverse conversation genres should be explored to induce discriminant function that have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Third, studies on the nature of oral communication ability should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