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말하기·듣기 교수 방법을 구안하려면 말하기·듣기 수업 상황과 특성에 대해 알아야 한다. 말하기·듣기 수업은 ‘교수자, 학습자,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며, 말하기·듣기 수업의 특성은 말하기·듣기 수업 상황과 구성 요소, 구성 요소들 간의 관심과 행위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말하기·듣기 수업의 특성들은 말하기·듣기 교수 방법 구안 가능성을 몇 가지 측면에서 제공할 수 있는데, 기존의 말하기·듣기 교수법들은 이들 특성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려면, 말하기·듣기 교수 방법을 ‘수업의 시·공간을 고려한 수업 운영 방법,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방법, 교육 내용 전달 방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덧붙여 말하기·듣기 교수 방법을 말하기·듣기 교수 조건과 결과와의 관계 속에서 따져볼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말하기·듣기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은 틀 속에서 구안되어야 한다. 첫째, 수업 운영에 따른 수업 조직과 관련된 활동들이 있어야 한다. 둘째, 교육 내용을 1차 매체인 활동으로 변환시켜야 한다. 1차 매체인 활동들은 텍스트 유형과 말하기·듣기 교육 내용 요소에 따른 활동, 말하기·듣기 과정에 따른 활동의 결합 형태가 된다. 셋째, 이러한 활동들을 ‘시각, 청각, 시청각 매체’ 등으로 2차 매체화해야 한다.


If we frame the teaching method of speaking & listening, we know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eaking & listening instruction. Speaking & listening instruction is composed of ‘teacher, learner, education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speaking & listening instruction are derived from the speaking & listening instruction's situation and elements. The existing teaching methods of speaking & listening did not reflect speaking & listening instruction's characteristics. If we solve this problem, we divide the teaching method of speaking & listening into the instruction management method, selection and organization method of education content, delivery method of education content. Therefore we establish the teaching method of speaking & listening as follows. First, it need the practices of instruction organization. Second, the teacher transform education content into the practices that the learner must study. These practices are made of ‘text types, the practices on the education content elements of speaking & listening, the combination of practices on speaking & listening's process. Third, the teacher change these pratices into visual, audible, visual-audible and interactional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