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래에 나온 국어교육의 내용과 관련되는 박사 논문들을 검토하여 그 성과와 앞으로의 발전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언어교육 쪽 연구물들은 어느 정도 경향성을 보이면서 발전하였다. 초기에는 어휘 및 국어 현상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많았는데, 이것은 국어교육학이 뿌리를 내리지 못한 상태에서 국어학의 성과에 기댄 결과로 해석된다. 중기에는 담화․텍스트의 구성 원리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고, 최근에는 국어교육의 핵심 영역인 표현․이해 활동 쪽의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다. 문학교육 쪽 연구물들도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며 발전하였다. 초기에는 특정 장르가 지니고 있는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는 연구와, 문학 작품에 내재된 이념이나 사상 등의 내용적 측면에 관심을 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고 중기에는 문학 작품의 해석과 수용 방식에 관심을 둔 연구가 많았고, 후기에는 문학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글쓰기 방식을 추출하려는 연구가 많았다. 괄목할 만한 발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여전히 많이 남아 있었다. 첫째, 언어교육과 문학교육이 서로 어떤 점에서 같고 다른지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 둘째, 국어사용 능력을 구성하는 전략들을 구체화하여야 한다. 셋째, 국어교육의 내용을 추출할 때, 문화론적 시각을 확대 적용하여야 한다. 넷째, 국어교육의 내용 요소들을 사고 중심으로 재편해 보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다섯째, 국어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제공할 경험의 목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여섯째, 국어교육 내용론의 구조와 역할 등에 대한 메타적 논의가 필요하다.


This paper surveyed doctorial theses presented of late and investigated their fruits by now and tasks to be resolved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language education are developed gradually. In the early period, studies on vocabulary and structure of language are presented abundantly. In the middle period, studies on constructional principles of discourse(text) are presented abundantly. In resent period, studies on language activities are presented abundantly. Studies on the literary education are developed gradually too. In the early period, studies on educational value in particular genre and ideology in literary text are presented abundantly. In the middle period, studies on methods of receiving literary text are presented abundantly. In resent period, studies on writing methods are presented abundantly. In spite of eye-popping development, there are still many tasks left. Lighting up the overlap and division between language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taking shape strategies of language use,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s in cultural perspectives, reconstructing contents on the basis of thinking skill, collecting experiences which is ought to be offered to students and so on are examples of these tasks. For developing studies on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must resolve these ta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