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학교육에서 경험의 재개념화와 교육적 실천을 위한 연구최홍원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경험의 개념을 규명하고, 경험 교육의 구체적 실천을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둔다. 경험이란 무엇이고 왜 경험해야 하며 무엇을 어떻게 경험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경험의 의미에 대한 다각적인 고찰을 통해서 문학교육의 경험은 무엇보다도 교육적 경험이어야 하고, 특히 텍스트 세계를 통한 의미의 경험이어야 함을 밝혔다. 텍스트 세계와 학습자가 만나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서 주체가 변화하고 성장하는 것이 바로 문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경험이다.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경험 형성의 과정과 절차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졌다. 일차적 경험, 일인칭의 경험, 이차적 경험은 모두 경험하는 방법이면서 의미있는 경험으로 발전하는 과정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경험 형성 단계에 맞춰서 수행적 활동의 조직과 설계가 가능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지식, 수행, 태도와 동일한 층위에서 국어교육의 내용 영역으로 경험을 설정하고 있다. 이같은 내용 설정의 정당성과 타당성에 대해서는 더 많은 논의를 필요로 한다.


The Study for Reconceptualization of Experience and Educational Practice in Literature Education Choi, Hong-won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experience closely and devise concrete practice of experience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he main focus is in relation with the question of “What is experience, why we have to experience and how can we experience it?”I clarified that experience in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above all things. educational experience, especially experience of meaning in text through multilateral inquiry about meaning of experience. The experience in literature education signifies change and growth of the subject by the process of constituting meaning as text and a learner meet.Research into process and procedure of forming experience was based upon reflective thinking. Primary experience, experience of the first person and secondary experience are all equally significant as ways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and process that develops to meaningful experience. It was possible to organize and design performative activities which have its roots in the steps of forming experience. Ultimately, this study sets up experience as contents sphe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the same layer like knowledge, performance or attitude. Propriety and dissertation of establishing contents like this are still a matter of deb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