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법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신명선본고는 지금까지 문법교육(학)에서 논의되어 온 몇 가지 논점을 가지고 그 동안 우리가 암암리에 동의해 온 교육적 인간상의 모습이 무엇이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먼저 수능 언어 영역의 어휘어법 문항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여 몇 가지 논점을 추출하였다. 문법교육(학)의 필요성과 위상 약화 문제, 체계적 지식에 대한 신화와 사고력 및 탐구력 중시의 경향, 유용성과 도구성에의 강조 등이 그것이다.위의 세 가지 논점을 바탕으로 그 동안 문법교육학에서 추구해온 교육적 인간상의 모습을 재구해 보았는데 그것은 지식인과 실용인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지식인과 실용인이 가지는 타당성을 인정하지만, 그보다 언어적 주체 형성에 좀더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교육적 인간상의 현실태와 이상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n Essay on the Ideal Educational Human-Being sought after in Grammar EducationSin, Myeong-seonThis essay is the investigation about the ideal educational human-being sought after in grammar education. Up to the present, there is not a study on the ideal educational human-being in grammar education. Therefore I had to infer the ideal educational human-being in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e key arguments about grammar education. This essay investigates and criticizes the ideal educational human-being sought after in grammar education.I drew key points through analysis about langage domain of CSAT(College of Scholastic Ability test) and a language curriculum. That's three;The dispute about the necessity of grammar education, the tendency to emphasize an systematic knowledge and thinking faculty, the stress on usefulness. If we form conclusions from key points, the ideal educational human- being sought after in grammar education is ‘an intellectual’ and ‘a pragmatist’. I recognized the value of ‘an intellectual’ and ‘a pragmatist’. But I gave weight to formate ‘an linguistic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