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탐구-문화매체 문식성 개념을 중심으로-최지현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교육의 주요한 내용으로 매체언어를 포함시키고 있다. 이미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매체를 국어교육 내에 수용하려 했던 것을 고려해 볼 때, 매체언어교육의 실천 방법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는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도출하고 구체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쳤다. 먼저, 이론적 설계를 위한 주요 개념들을 점검하였는데, 그간의 논의에서는 매체언어가 무엇인지, 매체언어교육과 국어교육은 어떤 관계인지가 여전히 모호한 상태였다. 본고는 문식성의 관점에서 매체언어를 규정하고 이 문식성을 ‘문화매체 문식성’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아울러 매체언어교육을 국어교육의 새로운 영역이 아닌, 국어교육을 새롭게 의미 규정한 새로운 차원으로 보아 ‘매체언어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이라는 문제틀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매체언어교육의 교육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문화매체 문식성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고 이에 대한 교육적 고려를 검토하였다. (1) 매체언어의 전언성과 형상성에 대한 이해, (2) 문화매체 양식으로서 매체언어의 관습과 체제에 대한 이해, (3) 문화매체 양식으로서 매체언어에 대한 체험과 제도화. 한편, 매체언어교육이 지닌 주요한 특성들을 고려하여 매체언어 교수학습 일반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근거로 교수학습 모형을 세 가지 수준에 대응시켜 구체화하였는데, 이를 각각 (1) 비교 매체 학습법, (2) 스토리텔링 수업법, (3) 매체 제작 프로젝트로 명명하였다. 각 교수학습 방법은 교육 내용뿐 아니라 실제 수업에서 해당 교육 내용을 교수학습할 수 있기 위해 요구되는 시공간적 환경과 상호작용적 관계를 고려하였다.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edia Language Education-Focused on the Cultural Media Literacy-Choi, Ji-hyunRecent Researches on media language education have shown an interest in ‘How to teach media language’. Taking a viewpoint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I also designed the teaching- learning model of media language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literacy. For this study, I hypothesized three levels of the cultural media literacy. Three levels of the cultural media literacy were classified as follows;basic level:understanding about communicative property and formative property of media languagestandard level:comprehension of convention and system in mode of media cultureintensive level:experience and institutionalization in mode of media cultureAccording to these levels, teaching-learning model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would be embodied diversely. To show the applicative cases, I suggested three instructional methods accompanied with the three levels of cultural media literacy one by one. (1) ‘media comparative method’ in single unit class(for understanding about communicative property and formative property of media language). (2) ‘story-telling instruction’ in multiple units class(for comprehension of convention and system in mode of media culture). (3) ‘media production project’ in multiple units class as a long term program(for experience and institutionalization in mode of media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