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MF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지식정보시대에 적합한 지식노동자를 공직사회에 배치하려는 전략으로서 공직적격성평가(PSAT)를 도입했다. 학습능력과 사고능력을 평가하는 이 시험은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상황판단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논리영역은 국어 문장들로 구성된 글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고, 논리적 흐름에 따라 표현하고, 논리적으로 추론 및 비판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이 글에서 PSAT 언어논리영역을 개관하고 여태 시행된 시험의 결과와 성과를 요약했다. 수험생의 수험부담이 감소하고 수험기간이 단축되었으며, 수험방법은 학원과 수험서에 의존하는 데서 독서와 토론 등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대학교 등 공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공교육 내 국어교육은 사고능력 위주의 언어능력을 배양하는 데 좀 더 큰 관심을 보여야 할 것이다.


After IMF relief loan at 1998, the Korean Government realized the necessity of making government officials knowledge-oriented and more logical, more critical, introduced Public Service Aptitude Test(PSAT) as the primary examination for recruiting junior administrative officials since 2004. PSAT is composed of three fields, Language and Logic, Date Analysis, Situational Judgement, all of which evaluate learning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In particular, Language and Logic Field evaluates reading comprehension, logical construction and inference, critical thinking. After introduction, PSAT brings several positive results as follows: reduction of examination burden and period, changing preparation method of exam to critical reading and logical debates, increase of concern in public educations such as the liberal arts course of colle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