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기존 이독성 공식의 문제와 한계점을 바탕으로 보완하고 텍스트 복잡도 (Text Complexity)를 상세화 함으로써 더욱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읽기(독서)교육을 지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기존에 이독성 연구, 문장 복잡도, 텍스트 복잡도 등과 관련한 양적 연구와 함께 학습자의 배경지식,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맥락 등과 관련한 질적 연구의 측면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특히 기존에 이루어진 텍스트 복잡도 관련 연구 성과들의 의의와 한계들을 살펴본 후, 텍스트 복잡도 요인 분석을 ‘구조, 의미, 배경 지식’의 세 측면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읽기 발달 단계, 선행학습에 의한 배경지식의 유무, 정서발달 단계를 총체적으로 다룸으로써, 균형 있는 텍스트 복잡도의 측정 요소를 구안할 필요가 있다. 읽기 교육의 체계화라는 궁극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각 연구는 독립성을 지니면서도, 그 연구 결과가 연계성을 지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여러 교과의 교육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범교과적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 개념망(온톨로지) 구축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elaboration of Text Complexity to develop systematic and scientific teaching reading through complementing the problems of Reading Formula. For this, I suggested th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should be connected in the researches of text complexity.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2010 describes that the measuring Text Complexity has three factors such a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text, and Matching reader to text and task.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text includes levels of meaning, structure, language conventionality and clarity, and knowledge demand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text includes Readability measure and other scores of text complexity. Matching reader to text and task means Reader variables (such as motivations, knowledge, and experiences) and task variables (such as purpose and the complexity generated by the task assigned and the questions posed). But this terms and conceptions are not appropriate for analyzing the text complexity, because the ter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re approaching methods instead of superordinate terms including various text elements. So in this paper, I suggested the three categories such as Structure (micro and macro level), Meaning (theme and contents), Prior knowledge (like a schema). Further more the Ontologies, similar to human concept network,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the curriculum of various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