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같은 어휘 수준으로 구성된 관용표현을 4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관용표현의 직역과 실제 의미를 쓰게 하는 조사를 통해서 피험자가 어려워하는 유형과 그 이유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한국어 관용표현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일본어 관용표현 사이에서 관용표현을 구성하는 어휘가 1대 1로 대응되는 경우 96.0%로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관용표현을 구성하는 일부 어휘가 공통된 것에 대한 인지도는 54.7%밖에 안 되었고, 피험자들은 반드시 한국어 관용표현과 일본어 관용표현을 대응시켜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 관용표현을 일본어 용언과 연결하는 경우도 있었다. 셋째,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표현 중에서 구성하는 어휘가 일본어의 용언과 대응되는 경우의 인지도는 70.7%로 피험자들이 그다지 어려워하지 않았다. 넷째, 일본어에는 대응되는 관용표현이나 용언이 없고, 한일사전에는 의미설명만 되어 있는 관용표현에 대한 인지도는 24.0%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idiomatic expressions, which were formed with the same vocabulary level, into 4 types, targeting Japanese native learners, and verified on type and its reason for which the subjects feel difficult, through a survey of allowing them to write the literal translation and actual meaning of each idiomatic express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could be known. First, when vocabulary of forming idiomatic expression is corresponded with 1:1 between Japanese idiomatic expressions of indicating the same meaning as Korean idiomatic expression, the recognition level was very high with 96.0%. Second, the recognition level on what some vocabularies of forming idiomatic expression are common accounted just for 54.7%. It is not that the subjects understand certainly by allowing Korean idiomatic expression and Japanese idiomatic expression to be corresponded, but that there was also a case of connecting Korean idiomatic expression with Japanese declinable word. Third, the recognition level when the vocabulary of being formed out of idiomatic expressions just in Korean language is corresponded with Japanese declinable word accounted for 70.7%. Thus, subjects didn't feel so difficult. Fourth, the recognition level on idiomatic expression, which doesn't have idiomatic expression or declinable word of being corresponded in Japanese language, but is semantically described in Korean-Japanese dictionary, accounted for 24.0%,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very low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