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말하기 불안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전략이 말하기 교육의 중요한 내용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현행 말하기 교육에서는 말하기 불안의 원인을 소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상식적인 수준의 내용을 소개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는 말하기 수행 과정을 말하기 불안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논의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이 없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말하기 불안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구안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기 불안 현상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교육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불안을 분석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심전도룰 활용한 말하기 불안 분석 모형을 제안하였다. 말하기 불안의 측정은 의학적 개념이 개입됨으로 인해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이 논의 자체를 기피해 왔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모형을 구안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말하기 불안을 가시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심전도 분석은 차후 말하기 불안과 관련된 교육 내용에 반영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3단계에 걸쳐 설명하였다. 첫째 단계는 말하기 불안이 자율신경계에 반영되는 것임을 이해하는 것이고, 둘째 단계는 심전도 파형의 R-R 간격 분석을 토대로 말하기 불안 양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며, 마지막 단계는 대표적인 유형으로 정리한 교육적 모형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말하기 불안의 지표로서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여 말하기 불안을 가시적이고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전략을 구안했다는 데 있다.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speech anxiety is and to overcome it in a speaking education. However, current speaking education only shows the cause of speech anxiety and how to get over it at a low level. That is because there has been no specific theory to analyze and discuss the speaking process with regard to anxiety. This study is for framing a draft of the education related to speech anxiety, which establishes a theoretical model to give a perceptible indication of speech anxiety. This study suggests the analysis model of speech anxiety by means of ECG (electrocardiogram) to examine speech anxiety. There have been few people who has tried to measure speech anxiety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medical examination. This research puts emphasis on setting up a simple and comprehensible model to analyze. Speech anxiety is explained by three steps, considering that the ECG result will be adapted to the education related to speech anxiety in the future. The first step is to understand that there is a link between speech anxiety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second step is to comprehend the process of analyzing speech anxiety on the basis of ECG. The third step is to understand the education model which is comprehend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typ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it suggests a theoretical model that serves as an index in which the response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s analyzed and a comprehensible strategy for analyzing speech anxiety is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