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표는 소설교육에서 소통론의 실천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소설교육에서 소통론이 처음 도입된 4차 교육과정 이후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해설서,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등을 살핀 후 그 이론적 기반과 교육내용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소통론은 소설의 수사학, 에이브럼즈의 비평 분류론, 수용 미학 등 다른문학 이론과의 영향 관계를 맺으며 서로 다른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소통론의 ‘수사적 실천’, ‘비평 분류식 실천’, ‘수용 미학적 실천’으로 나눠분석하였다. 수사적 실천이 작가의 수사적 행위에 대한 분석을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였다면 비평 분류식 실천은 소통 구도를 작가-작품, 현실 세계-작품, 작품-독자로 세분하면서 소설 작품의 종합적 이해를 추구하였으며 수용 미학적 실천은 독자 중심의 소통 구도를 설정하면서 독자의 능동성과 해석의 다양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사적 검토를 통해 확인한 성과와 한계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극복하기 위해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는데, 소통의 구조적 층위에서는 ‘소통 구도의 정교화’, 상황적 층위에서는 ‘소통의 맥락화와 반성적 탐구’, 소통의 윤리적 층위에서는 ‘소통 윤리의 모색과 소통의 윤리적 성찰’ 등이 그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ransition of ‘practices of communicativetheory’ in novel education critically, and find improvement plans. Toachieve this, from the 4th national curriculum that fist introduce ‘practicesof communicative theory’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guid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are examined. As a result,theoretical base and educational contents of ‘practices of communicativetheory’ are revealed. Practices of communicative theory in novel education are builtupon ‘rhetorical approaches to narrative’, ‘M. H. Abrahms`s classificationscheme of criticism’ and ‘reception theory’. First, analysis on author`srhetorical activity is suggested as a educational content in practice onrhetorical approaches. Second, overall understanding for novel text issuggested in practice on classification scheme of criticism. Third, reader`sactivity and interpretation`s diversity are emphasized in practice on receptiontheory. To succeed outcome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through referringforegoing historical consideration, improvement plans for ‘practice ofcommunicative theory’ in novel education are suggested on structure, circumstance,ethics of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