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 수행에서 자료 텍스트의 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데이비스(Davis, 1980)가 개발한 관계반응척도(interpersonal reaction index, IRI)를 활용해 필자 요인의 한 가지로 개인의 공감 성향에 따라 그 수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반응척도의 하위 범주 가운데 자료의 조직, 자료의 출처, 반박 논증의 활용, 독자 등을 두루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은 인지적 요소에 해당하는 ‘관점 취하기’였다. 하지만 이는 필자와 상이한 태도가 아닌 유사한 태도를 공유하는 자료를 선택해 응집적으로 활용하는 데 유의미한 설명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통념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둘째, 공감의 정서적 요소에 해당하는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은 필자와 상이한 태도를 보이는 자료의 정보량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상상하기’, ‘개인적 고통’을 둘러싼 선행 연구의 논란은 이 연구에도 유효했다. 넷째, 전체 글에서 자료 텍스트에 기원한 내용과 필자 자신이 생성한 내용의 비중은 공감 성향의 어느 범주와도 유의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empathic tendency on selection of sources during college freshmen’s writing from source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60 college freshmen. Further, quantitative analysis by sub-areas of Interpersonal Reaction Index(IRI)(Davis, 1980)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riter’s empathic tendency and his own selection of source tex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Perspective-taking” score and the relation of selected source texts, the source, the proportion of using rebuttal argumentation and the audience awareness overall.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has been found between the emotional factors of empathic tendency such as “Empathic Concern” & “Personal Distress” and T-units of the information oriented from source texts disagreeing with the writer’s own view on the topic. Third, the controversies over “Fantasy” and “Personal Distress” have been found the same as those from previous papers. Fourth, There wasn’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tendency score and the ratio of writer-oriented information to text-oriented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