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수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한다. 이러한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 중 하나는 여러 문서를 읽고, 평가하며, 종합하는 능력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다문서 읽기를 개념적으로 정리하고 그 배경이 되는 이론 및 현재 진행 중인 다문서 읽기의 연구 동향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다문서 읽기는 독자가 둘 이상의 글 자료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독자는 시간적으로 인접하고, 주제적으로 유사한, 복수의 글 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다문서 읽기 연구는 (1) 상호텍스트성 연구, (2) 역사교육에서의 전문가-초보독자 비교연구, (3) 다문서 읽기 모형의 수립화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 결과, 과거에 비해 다문서 읽기과정에 대한 지식이 늘어났고, 다문서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비인지적 요인이 밝혀지게 되었다. 현재에는 인지적 관점에서의 다문서 읽기 과정 연구에 더하여, 다문서 교수・학습방안에 대한 연구가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다문서 읽기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People produce and consume a tremendous amount of information in the age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e of the essential proficiencies required in this society is a set of literacy skills to read, evaluate, and synthesize information from multiple documents (i.e., multiple text comprehension).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multiple text comprehension, reviews the previous backgrounds and developments of the research, and provides future directions. Multiple text comprehension is defined as constructing meaning from more than two texts that are timely adjacent and thematically similar. The research on multiple text comprehension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ree relevant studies/models: (1) intetextuality studies, (2) comparative studies of expert-novice reading in historical education, and (3) document model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research findings about cognitive and non-cognitive factors that influence multiple text comprehension, as well as reading process of multiple documents. In addition, researchers become to focus on instructional studies of how to teach and assess comprehension of multiple texts. Based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findings, remaining work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research on multiple text comrpehensio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