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체계를 기준으로 2009-2013학년도까지 출제된 5년간의 국어과 중등 임용시험 1차 시험 문법 문항의 인지적 성격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에 대한 분석 결과 총 41문항 중 ‘사실적 지식’ 범주에 해당하는 문항은 17문항(약 41.5%), ‘개념적 지식’ 범주에 해당하는 문항은 23문항(약 56.1%), ‘메타인지 지식’ 범주에 해당하는 문항은 1문항(약 2.4%)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지 과정 차원에 대한 분석 결과 총 41문항 중 ‘이해하다’ 범주에 해당하는 문항은 35문항(약 85.4%), ‘분석하다’와 ‘평가하다’ 범주에 해당하는 문항은 각 2문항(약 4.9%), ‘적용하다’와 ‘창안하다’ 범주에 해당하는 문항은 각 1문항(약 2.4%)으로 분석되었다. 즉 2009-2013학년도 국어과 임용시험 문법 영역에서는 ‘사실적 지식이나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는’ 문항이 주로 출제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 문항들은 문항의 인지적 성격이 편향되어 있어 국어교사의 ‘인지적 복합성’을 평가하기에 충분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국어과 교사 양성과 선발에 필요한 지식의 성격을 고려하여 보다 종합적인 차원에서 인지적 영역의 교사 양성 및 선발의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에 부합하는 평가 문항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tive classification of the items for grammar which had been in the national level qualifying tests for Korean language teacher candidates of secondary schools from 2009 to 2013. This study's analysis standards are classified using Anderson & Krathwohl's educational taxonomy that was written by Krathwohl who is co-author of Bloom et al.'s taxonomy, so this taxonomy has a meaning as a revised edition of original taxonom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tructure of the knowledge dimension of the revised taxonomy, there had been 17 items for factual knowledge, 23 items for conceptual knowledge, 1 item for metacognitive knowledge. But no item for procedural knowledge of the total 41 test items. Second, in the structure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of the revised taxonomy, there had been 35 items for 'understand', 2 items for 'analyze' and 'evaluate' respectively, 1 item for 'apply' and 'create' respectively. But no item for 'remember' of the total 41 test items. As above data show, test item for grammar had been focused mainly on 'understand of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This is not enough to evaluate teacher's speciality. So the concept of cognitive complexity needs to be considered at the question items for the national level qualifying tests for Korean language teacher candidates of secondary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