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요구하는 교수-학습 체제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국어과 듣기・말하기 영역의 교육 내용과 방법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였다. 스마트 교육 환경은 화법 교육의 내용 확장과 화법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을 지원할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스마트 교육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화법 교육에서 대량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대한 교육, 구어적 다중담화텍스트의 생산과 수용에 대한 교육, 매체 사용과 채널 선택 전략에 대한 교육 등 교육 내용의 확장이 시도될 만하다. 또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는 담화 수행 동영상 제시, 담화 수행 과정에서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 촉진, 청중 평가 혹은 상호평가 방법의 적용, 녹화기록법의 사용, 말할 내용을 위한 자료 수집 등을 쉽게 할 수 있어 다양한 화법 교육 방법의 시도가 가능하다. 그러나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는 오히려 학습자가 대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담화 상황, 참여자, 내용에 따라 어떤 매체 채널을 선택해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systems requested by the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xplored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change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the field of Korean listening and speaking. Smart education environment has a positive aspect by expanding the contents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and supporting the diversification of the ways of speech communication teaching-learning. In order to realize the smart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needs to be extended into such fields as the education in mass communication capacity,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verbal “multi-discourse and multi-text”, and education on the strategy for using communication media. Besides, a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helps to realize various methods in the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by enabling the video-clipping of speech performanc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pplication of the audience-driven or mutual assessment, employment of video-recording, and material collection for a speech. However, in a smart education system, learners should to be reminded of the importance of face-to-face communication and be educated on which media channel to be selected, depending on a specific speech situation, participants, and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