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화재 반환 문제는 제 2차 세계대전 종결 후 전후 국제관계 재정립과 신생․독립국의 등장과 맞물려 개별 국가 내에서는 물론이고, 국가 간 외교 문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자리 잡았다. 19세기 이래로 거대한 제국을 경영하면서 전 세계의 중요 문화재들을 약탈․수집했던 영국은 이 문제의 핵심에 있는 국가로, 포스트콜로니얼 시대인 오늘날 원소유국들이 제기하는 수많은 반환요청에 직면해있다. 이에 대해 영국은 자국이 소유한 문화재를 반환할 수 없다는 일관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동안 비슷한 입장을 취해왔던 프랑스나 미국이 최근 반환에 긍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과 달리, 영국만이 유달리 강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은 영국의 이러한 입장에 대한 두 가지 주요 근거 – 문화국제주의와 영국 국내법 – 를 살펴보고, 그에 내재되어 있는 영국의 제국주의적인 태도를 고찰한다.


The restitution issue of cultural objects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diplomatic problems between nations as well as domestic affairs correlating with the re-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advent of newly independent stat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As in the heart of this issues in this post-colonial age, the UK is facing numerous claims for the restitution of cultural properties, looted and collected by British Empire throughout the worl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its rightful original owner. However, the UK has maintained its stance on the issue that the claims cannot be accepted. It is notable that the UK continues to show a strong refusal of returning them unlike France and the US both of which have recently changed their attitudes in favor of returning artifacts. This study will analyse two main reasons which UK has given for maintaining in defense of the legality of its position - the cultural internationalism and domestic law, and finally examines the inherent imperialism which can be seen through these ration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