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영어의 음절말음에 유성폐쇄음(/b, d, g/)과 무성폐쇄음(/p, t, k/)이 오는 경우, 모음과 유ㆍ무성 폐쇄음의 길이에 있어 한국어 모국어화자와 영어 모국어화자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이것을 위해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가설은 한국어 모국어화자와 영어 모국어화자의 영어발음에서 운모(rhyme)의 음절말음에 오는 무성폐쇄음의 길이비율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두 번째 가설은 한국어 모국어화자와 영어 모국어화자의 영어발음에서 운모의 음절말음이 유성폐쇄음일 경우 모음길이 비율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세 번째 가설은 운모에서 모음과 음절말음 사이의 상관계수가 영어 모국어화자가 한국어 모국어화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음절말음에 무성폐쇄음이 오는 경우 조음기관의 폐쇄시간을 영어보다 길게 하고 선행모음을 짧게 발음하는 한국어의 영향으로, 한국어 모국어화자는 영어의 음절말음에 무성폐쇄음이 오는 경우 모음보다 무성폐쇄음을 더 길게 발음한다. 이것은 영어 모국어화자와 정반대 현상이다. 음절말음에 유성폐쇄음이 오는 경우, 무성폐쇄음과 그것을 선행하는 모음을 기준으로 영어 모국어화자와 같은 비율로 유성폐쇄음이 짧아지고 모음은 길어지는 현상이 한국어 모국어화자에게 일어난다. 그러나 한국어 모국어화자는 무성폐쇄음을 모음보다 길게 발음하므로, 무성폐쇄음과 비교해 영어 모국어화자와 같은 비율로 유성폐쇄음을 짧게 발음하더라도, 여전히 운모 안에서 유성폐쇄음이 차지하는 비율은 영어 모국어화자와 비교해 높게 나타난다. 그 결과 모음과 유성폐쇄음 사이의 차이가 영어 모국어화자보다 훨씬 낮게 된다. 결국, 한국어 모국어화자의 무성폐쇄음을 모음에 비해 길게 발음하는 특징은 유성폐쇄음도 영어 모국어화자보다 길게 발음되는 결과를 가져와, 음절말음의 유ㆍ무성 폐쇄음과 선행 모음의 길이변화가 영어 모국어화자와 다른 주원인이 된다. 이와 더불어 반비례 관계인 모음과 음절말음 사이의 상관계수는 한국어 모국어화자보다 영어 모국어화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음절말음의 유ㆍ무성에 따른 길이변화에 선행모음의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영어 모국어화자가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 영어 모국어화자와 한국어 모국어화자 각각 10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좀 더 많은 대상자를 연구하지 못한 아쉬움은 있지만, 이 연구에서 발견된 한국어 모국어화자의 운모에서 유ㆍ무성폐쇄음이 차지하는 비율과 음절말음과 선행모음의 상관관계에 대한 영어 모국어화자와의 비교는 한국어 모국어화자의 정확한 발음지도에 좋은 자료가 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uration differences between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in the rhyme with a voiceless or voiced stop coda. Three hypotheses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First, the voiceless coda percentage of native speakers of Korean was greater than that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in the rhyme with a voiceless stop coda. For native speakers of Korean, the voiceless coda duration was longer than its preceding vowel duration. Second, the vowel percentage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was greater than that of native speakers of Koreans in the rhyme with a voiced stop coda. The gap between the voiced coda duration and its preceding vowel duration was greater in native speakers of English than in native speakers of Korean. Third, the inverse corelation between a stop coda and its preceding vowel was greater in native speakers of English than in native speakers of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