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어문법에서 조사 ‘의’는 전통적으로 관형격조사로 불린다(남기심ㆍ고영근 1985). ‘의’는 선행하는 체언에 결합되어 후행하는 체언에 대하여 관형어 구실을 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왔다(표준국어대사전). 이 논문은 관형격조사 ‘의’의 쓰임에 대하여 분명하게 구분되는 두 가지의 기능, 즉 속격 표지와 수식 표지로서의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명시적인 통사론적 분석을 제시한다. ‘의’의 이러한 기능의 분화는 연결된 체언의 구조적인 특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관형격조사 ‘의’의 두 가지 유형, 즉 속격 표지와 수식 표지로서의 문법적 정체성을 명시적으로 밝히고, 그 통사 분석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속격 표지로서의 ‘의’는 구조격의 실현으로, 그 선행 명사로 지시적인(referential, 의미유형 <e>) 명사구를 요구한다. 반면 수식 표지로서의 ‘의’는 속성적인(의미유형 <e,t>) 명사구와 결합한다. 그리고 속격 표지의 ‘의’는 수식 표지의 ‘의’보다 구조적으로 보다 상위에서 인가된다. 구체적으로 속격 표지는 DP의 지정어 위치에서 인가되지만, 수식 표지는 NP 부가어 위치를 차지한다.


This paper identifies two types of 'uy', which has been called an adnominal particle in Korean, and presents a syntactic analysis of them. The particle 'u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genitive marker 'uy' and modificational marker 'uy'. The former, realized as structural Case, attaches to an argument noun phrase of referential semantic type. In contrast, the latter has a function of attributive modification, whereby combined with a non-argument noun phrase of property semantic type. Genitive marker 'uy' is licensed at the Spec of DP position, whereas modificational marker 'uy' occupies an NP-adjunction position. This paper also discusses so-called compound nouns, in which 'uy' is not allowed to intervene. Those constructions are shown to have properties as syntactic products and to have type interpretations of head nou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