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에서의 영논항에 대한 연구는 크게 pro 분석과 생략 분석으로 나누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Hoji(1998)의 연구를 필두로 한 pro 분석 여기에는 AhnㆍCho(2009, 2010, 2011a,b, 2012, 2013 등 그 외 다수)의 무수한 논문들과 박명관(출판예정)의 논문들이 그 주장에 동조하고 있으며, Kim(1999)의 연구를 필두로 Takahashi(2008), 엄홍준(2011)의 논문들이 생략 분석에 그 무게의 추를 두고 있다. 또한 이것의 절충안으로 Lee(2011, 2013)와 ParkㆍOh (2013a,b) 등의 분석이 있는데 이 분석의 특징은 한국어의 영논항의 본질은 어떤 경우에는 pro 분석이 유용하고 다른 경우에는 생략 분석이 유용하다는 것에서 두드러진다.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종합해 볼 필요가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에서의 영논항은 영 대명사 즉 pro라고 보는 pro 분석의 문제점을 다시 한 번 재조명하는 것으로써 영논항의 분석은 pro 분석과 더불어 생략 분석도 유용한 분석임을 다시 한 번 밝히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pro analysis in which null argument is identified as zero pronoun (namely, pro) for the Korean null argument constructions. It has been argued that the pro analysis is superior to the ellipsis analysis in which null argument is identified as empty NP. However,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re still seem to be potential problems with the pro analysis. It is proven that the validity of continuation test which is provided as a test for the pro analysis is questionable in respects of theory and empiricism. Furthermore, it is shown in this paper that while under the pro analysis only sloppy like identity interpretation is yielded out in the Korean null argument constructions, in fact genuine sloppy identity interpretation is yielded out in them. This means that the ellipsis analysis must be still useful even though the pro analysis is more pervasive in explaining the Korean null argument constr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