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를 거쳐 해방 공간까지 조선음악을 대표하는 음악인으로 살아간 함화진의 삶을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그가 일생동안 조선음악을 대표하는 최고 권위자였던 점을 천착하고자 한다. 따라서 그의 삶에 대한 재조명은 그를 둘러싼 조선 음악과, 음악인들과의 관계, 예술이라는 근대 문화적 표상 속에서 그에게 열린 새로운 가능성과 한계가 무엇이었는지를 포착하는 데 집중한다. 이 연구는 조선음악과 조선음악인이 정치적 현실로부터 어떠한 굴절을 거치면서 정체성을 획득해갔는가를 살피는 작업이 될 것이다. 함화진은 이왕직 아악부의 최고 지위인 아악사장에 오른 인물로, 세습 체제를 따르는 전통적인 아악인의 권위와 기량을 겸비하고 있었다. 또한 그는, 근대 예술 개념이 유입되면서 새롭게 형성되기 시작했던 음악을 둘러싼 사회적 변화에도 민감하였다. 그는 신지식과 서양음악 이론을 적극적으로 학습하면서 아악부 외부 음악계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아악부의 대중화와 이론 정립에 주력하면서 자신의 권위를 견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당시 조선음악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는 구왕조 체제 뿐 아니라 식민지 지배 하에서, 그리고 해방 이후 민족문화 건설이라는 대의 하에서 정치에 종속적이었다. 특히 조선음악의 최고 권위자인 함화진이 지니고 있었던 조선음악에 관한 지식과 재능, 여타 음악인들을 규합하는 권위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활용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이는 함화진이 식민지 시대에는 친일음악가로, 해방 이후에는 좌파로 검거 대상이 되도록 했던 직접적인 배경이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essay is to trace the Ham Hwa Jin’s walk of life as a korean musician. He was the chief of classical court ceremonial music(雅樂司長) in colonial period, went with the strea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liberated period(1945-1948), he worked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music’, and was arrested with leftist roundup-order by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But it is only one-sided view to see his career at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is essay I focus his social identity as musician of korean music and the musician’s walk of life in that history. Secondl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process, the korean music get the status in modern system of knowledge, especially ‘art’ and ‘music’. In Ham’s life we can see the typical case of that process. He got the highest authority of korean music in his days. But his authority was fragile, as korean music was s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essay is to trace the Ham Hwa Jin’s walk of life as a korean musician. He was the chief of classical court ceremonial music(雅樂司長) in colonial period, went with the strea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liberated period(1945-1948), he worked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music’, and was arrested with leftist roundup-order by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But it is only one-sided view to see his career at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is essay I focus his social identity as musician of korean music and the musician’s walk of life in that history. Secondl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process, the korean music get the status in modern system of knowledge, especially ‘art’ and ‘music’. In Ham’s life we can see the typical case of that process. He got the highest authority of korean music in his days. But his authority was fragile, as korean music was 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