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도시한옥밀집지역인 전주한옥마을에 대해 전주시와 전문음악축제인 전주산조예술제가 1999년 동시에 한옥마을의 미래를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간다. 관과 민간주도라는 분명한 성격을 대변했던 두 활동을 비교한 결과 가치 인식엔 일치하였으나 그 접근법이나 미래상은 서로 차이가 있었다. 전주시는 표면적으로 개발을 내세우지 않았지만 하드웨어 중심의 도시개발이 이뤄졌다. 그 결과 한해 300~4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 한옥숙박체험지로서 정착, 공방중심의 특산품생산․판매거리조성, 전통술박물관 등 문화시설의 신축, 일반시민들의 문화욕구에 부응하는 공간조성, 국제슬로우시티 지정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한옥과 전통문화를 상품으로 개발하여 관광산업화 하려는 전주시의 의도가 맺은 결실이다. 그러나 개발은 원주민들을 배제하는 방향이었다. ‘밤의 공동화’현상이 이미 초래되고 있다. 한옥이 갖는 주거지로서의 본질을 무시하고 거주자를 배제한 상태에서 타자지향의 개발은 관광지로서의 성격만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편, 전주산조예술제는 산조라는 한국음악을 바탕으로 한 음악전문축제로서 민간주도를 견지한 작은 축제를 지향하였다. 전문음악예술제였지만 출발부터 한옥마을의 미래상을 고민하면서, 한옥마을이 갖는 무형의 가치를 발견하고, 주민과 인간중심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한옥마을에서 발현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념적으로는 축제라는 놀이판을 기반으로 해서 전통적인 굿사상과 미학에서 추출한 ‘산조성’을 개념화함과 동시에, 산조성에 입각하여 장르개념마저도 파괴하며 새로운 문예사조를 열려는 시도를 하였다. 산조성과 전주한옥마을과의 만남은 ‘전주한옥마을을 더욱 전주답게, 전주한옥마을답게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얻어내기에 이르렀다. 이는 ‘과거’가 아니라 ‘현재’라는 시점을 놓치지 않고 지켜냈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오늘의 산조’를 찾기 위해서 ‘한옥마을 원주민의 역사와 삶’을 중시하면서, 집(한옥)과 마을은 이를 실현해주는 목표이자 현장이라고 본 결과였다. 최근 일상적으로 문화․예술 행위가 산조적으로 펼쳐지고 한옥마을을 놀이판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축제가 자리 잡은 것은 바로 산조가 뿌린 씨앗 덕택임이 검증되고 있다. 이는 재개발방식이 아니어도 가능하다는 새로운 도시개발의 전형 제시로 평가받을 만하다. 전주한옥마을은 하드웨어 구축이 어느 정도 끝났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돼야 할 시점이며, 관의 역할이 변해야 할 시점이라는 공감대가 확산중이다. 이는 주거공간으로서의 한옥을 회복하기 위한 자발적인 주민들의 움직임이 활성화돼야 하며, 전주한옥마을다운 문화공간이나 상업공간에 주목하면서 전주한옥마을 나름의 정체성 확립이 필요함을 뜻한다. 이런 이유로 전주산조예술제가 제시했던 ‘산조성의 발현과 강화’와 같은 이념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In 1999, Jeonju city government and Jeonju Sanjo art festival began projects to make future of Jeonju Hanok village, which is one of Hanok concentration areas in city, at the same time. In this article, we compare two projects that each project could be featured by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activity. After all, two activities had common recognition about value of Hanok village, but had different vision about future. So each way to approach about Hanok is very different. In the view of Jeonju city government, even though development was not prior purpose, they focused about hardware of city. As a result, there are visible successful results. Hanok village has settled down accommodation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house, Hanok; About 3~4 million tourists visit each year. However there are some criticisms that Hanok’s real nature is ignored and just structural building is remained during developing hardware of the city. It is because of Hanok’s originally features are ignored during developing. Hanok is traditional living space. But development focused to attract tourist from other cities or countries, not native people who want to live there. So Jeonju city government also feel same dilemma. On the other hand, Jeonju Sanjo festival that specialized music festival based on Korean music focused Hanok village’s future vision at the first time. It emphasized intangible value of Hanok village and inventing software for Hanok, furthermore for human being. Jeonju Sanjo festival purposed to revive and conceptualize soul of Sanjo-humanity, cross-over of cultural genre. The final playground that synthesized Sanjo’s soul is Jeonju Hanok village. In that festival, They believed that “past” relates to “present”. So when we connect to history and story of native people who have been living hanok, we can revive Sanjo in contemporary life. In this view, Hanok village is not only its playground but also its purpose. This attempt partly accompolished during Sanjo festival and suggested new possibility of culture and new way of developing city. In Jeonju Hanok village’s hardware is almost completed. So it is time to invent creative software for Jeonju Hanok village. For this change, many people start to think that the government view has to be changed first of all. Volunteer and concern of citizen and native people who love Hanok are also need to make new software for Jeonju Hanok village. And first of all, we have to reconsider about Jeonju Sanjo festival as suggestion about renewing soul of Sanjo and reconstruct origin of Han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