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여성들이 경제활동과 가족역할에 부여하는 의미들과 그 속에서 구성되고 있는 자아 정체성의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 자료는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의 구술 분석에 기초한다. 인터뷰에 참여한 여성들은 연령, 계층, 생애 유형을 고려해 28명이 선정되었다. 여성의 지배적 의미체계에는 가족중심성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과거와 별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성차별적인 사회 문화적 환경에서 수동적으로 내면화된 지향이 아니라 가족역할을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의지적 실천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세대 변화를 함축한다. 현 젊은 여성들의 가족중심적 지향은 세대, 부부, 자녀관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장시키고 있는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세대관계에서는 여성지위를 제약하는 전통적인 가족관계의 영향이 존재하지만 그보다 훨씬 넒은 지형에서 지원망으로서 관계의 의미들을 새롭게 만들고 있다. 부부관계에서는 위계적으로 해석된 성역할 분리규범을 남편의 부양책임으로 재해석하고, 자신과 함께 남편에게 자녀교육에 희생적이기를 독려한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해석되는 가족의 의미는 남녀 분리적 집단 문화에서 가족을 통해 자아의 욕구를 최대화하려는 여성들의 열망을 투영한다. 이러한 가족중심성은 개별 행위자에게는 지위획득의 가치를 실현하는 도구 합리적인 행위일 수 있지만 그 집단적 효과는 남녀 분리적 구조를 더 공고화해 개인의 자율성을 억압한다는 점에서 자기모순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Women’s self identity is not passively ascribed but actively reconstructed by introspecting their life experience. The important question is raised in which way women attach the meaning to their family relations and economic activities and its meaning is tied to social structure of gender relations. Drawing on this question,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way in which women interpret their life experience, particularly in realms of family and economic activities. The analysis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28 women residing in Pusan area, who were chosen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age, economic status, and life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s that family centeredness constitutes the central part of interviewed women’s identity. Women’s family centeredness is not likely the repressive outcome of the prevailing gender norms rather it is very actively reconstructed with women’s strong aspiration to achieve social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