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정치적인 것의 본질에 관한 칼 슈미트의 이론에 비추어 최근 한국 보수세력의 담론적 실천의 성격을 분석한다. 정치의 핵심을 ‘그들’과 대립하는 ‘우리’의 집합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슈미트의 정치사상이 보수세력의 담론 실천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또한 보수세력의 담론적 실천이 슈미트의 반(反)다원주의와 전체주의 정치 관념과의 연관성 속에서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서 총 281건의 사설과 칼럼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수세력의 담론적 실천은 정치적인 것의 본질이 ‘적’에 맞선 ‘친구’의 집합 정체성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음을 매우 잘 보여주고 있다. ‘선진화’ 담론, ‘삼성’ 담론, ‘친기업’ 담론, ‘포퓰리즘’ 담론 등은 자유주의 세력을 압도하는 보수세력의 사회 지배 담론이 되었으며, ‘그들’을 ‘개인을 넘어선 집단’, ‘주변부적 별종’, ‘이율배반적 권력집단’, ‘편가르기 집단’, ‘반(反)대한민국 세력’으로 규정하는 담론 전략은 진보개혁 진영을 포위하고 무력화하기 위한 유효한 전략이 되었다. 자신과는 다른 입장과 관점을 가진 사람들을 ‘친북좌파’ 혹은 ‘대한민국 정통성 부정 세력’으로 규정하는 보수세력의 행태 속에는 모든 사회적 논란에 반공주의라는 이념을 덧씌우는 권위주의적이고 전체주의적인 이념 과잉의 성향이 자리 잡고 있다.


Adopting Schmitt’s concept of the political,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Korean conservatives’ discursive practice. It explores how conservative discourses incorporate Schmitt’s political thought that considers the essence of political to construct the collective identity of ‘us’ opposed to ‘them’. In addition, this paper inquires into how conservative discursive practice could be evaluated in relation to Schmitt’s anti-pluralist and totalitarian political conceptions. In order to do this, I conducted a critical discursive analysis of a total of 281 newspaper editorials and columns from two right-wing Korean daily newspapers of Chosen and Dong-A. Conservative political discourse show well that the essence of the political lies in the shaping of the identity of ‘friend’ in opposition to ‘enemy’. Discourses of ‘national advancement’, ‘Samsung republic’, ‘business-friendly’, and ‘populism’ have become dominant social discourses overwhelming a liberal socio-political camp. In addition, the discursive strategies of constraining ‘them’ to ‘a group over individuals’, ‘peripheral oddities’, ‘a hypocritical power group’, ‘an ever-splitting group’, and ‘anti-Korean group’ have become influential strategies to beseige and disempower political progressive-reformist groups. There is an overly authoritarian and totalitarian tendency in Korean conservatives who regard all the differing opinions from them as a ‘pro-North Korean, left wing’ and a ‘group of denying the political legitimacy of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