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노동의 성격에 따른 집단별 문화취향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근래 유행하는 개인화 및 잡식취향 테제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그간의 상동성 테제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오해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노동의 변화와 더불어 이질성이 증대하고 있는 정신노동 집단에 초점을 두고 그 하위집단별 문화취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동유형에 따른 집단별 문화취향의 차이가 확인되었고, 계급별 잡식취향이 노동의 성격에 따른 다양한 하위집단별 문화취향의 차이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자본이 큰 집단은 순수예술이나 지적 체험에 더 관심을 보였으나 문화자본이 작은 집단은 좀 더 대중적이고 가벼운 성향의 문화체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새로운 성격의 노동이 등장함에 따라서 사회적으로 문화취향의 다양성은 증대하고 있지만, 노동의 형태에 따른 집단별 문화취향의 차이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logical vitality of the current individualization and omnivorous taste theses by exploring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labor group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examines the misconcep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theoretical debate on the homology thesis, and analyzed the cultural preferences of the various sub-groups of mental labor,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labor and heterogeneous nature is increasing. Findings from this analysis confirm that labor type affects the difference in cultural preference among its constituents. Additionally, omnivorous taste is shown to be a phenomenon resultingfrom difference in cultural taste by labor group. Furthermore, while mental labor groups with a high rate of cultural capital showed more interest towards pure art and intellectual experience, manual labor groups with a low amount of cultural capital preferred a more popular and lighter cultural experience. The social variability of cultural preference is increasing due to the appearance of new types of labor, but the difference between labor groups’ cultural preferences that rely on the form of labor still ex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