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간이 간과되었던 기존 한국사회운동연구는 2008년 촛불집회를 계기로 사회운동에서 공간의 역할을 주목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 촛불집회 연구에서 공간은 집회의 배경막 수준으로 인식되고, 실제 어떻게 사회운동과 공간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있었는지는 논의되지 못했다. 기존의 촛불집회의 지배적 해석은 촛불집회 참여주체와 전통사회운동세력 간의 차이와 단절을 강조하는 이분법적 구도를 취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인문지리학에서의 영역성 논의를 바탕으로 첫째, 탈계급적, 탈영역적으로만 보였던 촛불집회가 공간을 매개로 영역화와 탈영역화가 발생했음을 드러내고, 둘째, 일부 진보적 학자들의 지배적 해석처럼 다중으로 간주한 새로운 참여주체들은 집회공간의 영역화와 탈영역화 과정과 맞물리면서 유동적인 정체성을 띠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Earlier studies on the Korean social movement have tend to pay little attention to the role of spaciality. In this situation, the 2008 candlelight protests brought an insight on the role of space to the field of social science. But earlier analysises of candlelight protests could not concretely explain the process how social movements dynamically interact with space. With this problem, they have a tendency that de-territorialized and non-class “multitude” have priority over territorialized and class-oriented “traditional social activists.” Informed by the recent debate on the territoriality, I problematize the dichotomy that divides “multitude” and “traditional social activists.” It blocks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mong them. Instead, I show that identities of participants have been changed from “multitude” to “traditional social activists” through the medium of space vice ver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