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 사회적 경제가 지닌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의 측면을 검토한다. ‘연대의 경제’에 관한 논의, 그리고 그 토대가 된 칼 폴라니의 경제론을 토대로, 대안운동으로서 사회적 경제가 가져야 할조건들을 강원지역 사회적 경제 기관 및 기업의 사례에서 확인한다. 대안적인경제관, 연대 활동, 공동체 강화, 상호성에 기초한 경제행위, 혁신이 이러한 조건으로 선택되었다. 먼저 또 다른 ‘압축적 성장’이라고 할 만큼 짧은 기간 내에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다. 법적, 제도적 기반이 광역 및 기초 단위에서 상당부분 갖추어졌고 사회적 경제 조직의 수도 급격히 늘어났다. 사회적 경제 조직간 교류도 증가했다. 질적인 면에서도 근본적인 지역재생의 시도들이나 조직내 민주주의를 강화하려는 시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조직의 유형과 무관하게지역사회의 문제를 공동체를 강화하고 비시장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향을찾아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했던 대안운동으로서의 측면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공동체적 유대의 재건이나 새로운 경제관의 형성보다는 환경문제와 지역농업의 회생, 취약계층의 고용문제 등 시급한경제문제의 해결, 또는 사회적 경제 조직 자체의 생존이 더 강조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치적 측면이나 구조적인 접근이 미약하다는 점도 발견할수 있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현장 조직의 경우 사회적 경제 자체에 대한 이해가 크게 부족하고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학습의 기회가 거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인터뷰에 응했던 관계자들은 공히 국가로부터의 자율성이 미약한 점을 지적했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경제 시장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있었다. 현장 조직의 경우 다양한 비시장적 실천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지만 전체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혁신의 측면 역시 민주적인조직 문화와 관련된 측면을 제외하고는 두드러진 성과를 찾기 어렵다. 조직의유형별로 차이점을 발견할 수도 있었다. 먼저 지원기관이나 연합체 성격을 띤조직은 조직의 성격상 사상적인 측면이 상대적으로 명확히 설정되어 있다. 조직의 성격상 네트워크 활동의 중심에 위치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반면 조직 운영에 있어서의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자활기업 등 현장 조직들의 경우에 두드러진다.


This paper examines Social Economy in Korea as an alternative of capitalismfocusing on a case of Gangwon province. Based on ‘solidarity economy’ theoryand Karl polanyi’s economic theory, it verifies if social economy’s institutionsand enterprises in Gangwon possess conditions which social economy should haveas alternative movement. Alternative economic view, activity of solidarity,enhancing community, economic action based on reciprocity, innovations arechosen as these conditions. First, there was amazing growth which merits‘condensed growth’.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work are prepared in aregional and local dimension. The number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wasalso dramatically increased. Interaction among the organizations grew. Inquality, tries of fundamental ‘community regeneration’ and democracypromotion can be examined. Regardless of type of organizations, it showstendency toward non-market approach and strengthening community culture insolving community problems. Though, it is hard to find key elements ofsolidarity economy. It is assured that survival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itself or solution of urgent socio-economic problem like local environmental issue,revival of agriculture, problem of employment are more emphasized thanreconstruction of community bond or formulation of new economic view. Also, it is found that political sides and structural approach are weak. Fundamentally,field organization’s understanding of social economy itself is lack and there is fewopportunity of learning to improve this. The persons interviewed pointed outfaint autonomy from government and proposed expansion of social economicmarket is needed. It is possible to find out a case of various non-market practicein the field organizations but portion in all activities is minor. It is unlikely tolook for noticeable outcomes except democratic organization culture as aninnovation aspec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ypes of organizations. Theorganizations such as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or an alliance set upan ideological sides clearly. It plays a leading role in center of network activity. On the other hand, in managing organization, interest about democracy isnoticeable in organizations like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s, village enterprise,self-sufficiency enterpr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