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찰관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짓말의 특징에 관한 신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선 경찰서에 근무하는 경찰관 122명과 대학생 160명에게 거짓말을 할 때 어떤 음성적 특징, 비언어적 특징, 그리고 진술 내용의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물어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진술 내용의 특징에 관해서는 준거기반 내용분석(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 CBCA)에 포함된 진술 특징을 사용하였고 거짓말과 관련된 고정관념과 자신의 거짓말 행동에 대한 질문도 포함되었다. 설문조사의 결과, 경찰관과 대학생들은 자신이 하는 거짓말이 들킬 확률은 낮게 추정했지만 타인의 거짓말을 탐지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자신감이 낮았다. 두 집단 모두 거짓말의 음성적 특징과 진술 특징에 대한 신념은 비교적 정확했지만 비언어적 특징에 대한 신념은 부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경찰관과 대학생의 거짓말에 대한 신념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그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거짓말의 특징에 대한 신념은 실제 거짓말을 하는 범죄 용의자가 나타내는 특징과 괴리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끝으로 거짓말의 특징에 대한 부정확한 신념에 기초해서 타인의 속임을 탐지할 때 범할 수 있는 오류의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ne hundred twenty two police officers and 160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on their beliefs about vocal and nonverbal characteristics of lying. Beliefs about the content of deceptive statements were also assessed using 19 criteria of 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CBCA). Both police officers and college students thought their own lies were not likely to be detected but they were not very confident of detecting other people's lying. Police officers and college students shared similar beliefs regarding vocal and nonverbal characteristics of lying. Compared to actual behavior of deceptive criminal suspects, participants' beliefs on vocal characteristics were relatively accurate whereas those about nonverbal characteristics and statement content of deceptive statements were relatively inaccurate. Both groups accurately believed some criteria of CBCA would appear more often in truthful statements than in deceptive statements, although they thought other CBCA criteria would appear more often in deceptive statements. Overall the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from western countries. Dangers of relying on incorrect beliefs in making interpersonal judgments, especially for police officer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