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정(情)을 문화심리학(folk psychology) 관점에서 마음의 범주 모형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정 마음은 신념, 욕구와 기능의 범주로 구성하여 행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의 감정이 정 마음의 범주 중 신념과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검증한 결과 신념-욕구-기능과 감정이 마음의 범주로 형성되고 있고 감정은 또한 표현행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 마음은 인지, 감정과 욕구로 구성된 복합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문화적이고 토착적인 심리현상을 이론적 구성개념으로 형식화시킴으로써 타문화권 현상과 비교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test for Jeong (interpersonal affection) Maum (mind) through SEM. In view of folk psychology, everyday understanding of human actio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other minds (Kashima, McKintyre, & Clifford, 1998). Folk psychological understanding, prediction, and explanation of human action may be based on the categorization of observed behaviors and events into the category of folk psychological mind. I hypothesized a folk model of Jeong Maum and tested it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folk model of Jeong Maum was consisted of belief, desire, and intention as a category of Maum. I also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y of Jeong Maum and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emotion on the category of Mau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f desire was stronger than belief on intention as a category of Jeong Maum. However, Jeong emotion influenced much on belief. Jeong emotion also influenced on behavior. Thus, the emotion which would feel in Jeong-deun relationship is likely to relate to belief, desire and behavior. This results implied that emotion could have constitutive function in the category of M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