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국적인 설문조사(n = 1014)를 통해 시민들이 갖고 있는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 정부에 대한 신뢰,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우리사회 공공갈등에 대한 평가와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민들의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와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공공갈등이 민주주의 발전에 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고, 앞으로 공공갈등이 더 줄어들고 더 잘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공공갈등의 민주주의 기여도와 공공갈등의 해결전망의 인식에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성별, 연령, 학력 등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뒤 각 신뢰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부 신뢰와 시민단체 신뢰가 공공갈등의 민주주의 기여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와 정부 신뢰가 공공갈등의 증가전망과 해결전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rust in generalized others, trust in government, and trust in civic organizations affect the perception of public conflicts through a nation-wide survey(n = 1014).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trust in generalized others and government are more likely to value the role that public conflicts play in developing democracy, to expect the decrease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and to expect the rational and peaceful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while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trust in civic organizations recognize that public conflicts have helped to develop democracy and will be resolved more rationally in the future. Also, when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e.g., gender, age, education), trust in government and civic organizations predicted the perceived contribution of public conflicts to democracy, and trust in generalized others and government predicted the expectation of decrease of public conflicts and the expectation of rational and peaceful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