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탈북자에 대한 수용적 행동의도 및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요한 변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인집단 정체성과 고정관념 및 편견에 계획된 행동이론(Ajzen, 1991)의 변인들, 즉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를 추가하여 상대적 설명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행동에 대한 태도, 행동의도 및 행동에 미치는 고정관념과 편견에 대한 상대적 우세성을 알아보고, 주관적 규범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먼저 전체 모형을 통하여 수용적 행동의도의 67.1%, 행동의 66.5%가 예측되었다. 또한 태도와 행동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편견, 즉 정서의 영향이,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고정관념, 즉 인지가 상대적으로 중요했고, 행동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추가한 주관적 규범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도 유의한 증분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탈북자에 대한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높이는데 있어서, 한국인집단 정체성, 고정관념 및 편견에 더하여 인간의 합리성에 기초한 계획된 행동이론의 변인들을 이용한 개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nform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explaining receptive behavior intention as well as receptive behavior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investigate the comparative role of Korean social identity, stereotype and prejudice(i.e. attitude about object) in the prediction of receptive behavior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study the influence of subjective norm on receptive behavior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A sample of 708 undergraduat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receptive intention was explained 67.1% by proposed model, while receptive behavior was explained 61.1% by this model.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prejudice on attitude/receptive intention was strong than the stereotype, and the influence of the stereotype on receptive behavior was strong than the prejudice. Finally the path of the subjective norm on behavior was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