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Higgins(1997)는 인간의 경험을 기반으로 형성된 두 가지 다른 형태의 동기인 조절초점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는 Higgins, Friedman, Harlow, Idson, Ayduk, Taylor(2001)가 제작한 성향적인(chronic)1) 조절초점 척도인 RFQ(Regulatory Focus Questionnaire)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RFQ의 요인구조 탐색을 위해 대학생 208명(연구 1-a)과 225명(연구 1-b)의 설문자료를 각각 수집하고 두 번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성개념의 정의와 요인분석 결과를 감안해 2문항을 제외한 2요인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a에서는 274명의 대학생 자료를 재표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 1에서 나타난 요인구조가 확증되었다. 연구 2-b에서는 관련 구성개념과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 3에서는 대학생 1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준거변인을 설명하는 동시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와 시사점을 논의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Higgins(1997) proposed regulatory focus theory comprises two types of motivation formed by one's personal experience. In this research, the RFQ(Regulatory Focus Questionnaire), the chronic regulatory focus scale, developed by Higgins, Friedman, Harlow, Idson, Ayduk, and Taylor(2001), was well interpreted in Korean and validated. In study 1-a(N=208) and 1-b(N=225), corresponding factor structure was foun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wo items, however, were judged inappropriate to Korean culture through content review, then removed. In study 2-a(N=274),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cceptable fit indices,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proved with BIS/BAS, HEXACO, self-esteem, self-interpretation and general self-efficacy. Lastly, In study 3(repeated measured, N=120 of study 2-b), criterion 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by showing that RFQ predicts social desirability, self-deceptive enhancement, image management, and leisure engagement significantly. The main findings and discussions of the results were well expl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