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宣祖 33년(1600)에 강릉지방에서 시행된 「江陵鄕約」을 자료로 삼고, 이 향약이 「海州一鄕約束」의 변용된 사례라는 점을 주목하여, 그 내용과 조직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시대적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강릉향약」은 壬亂 직후에 시행되면서 지방의 사회질서를 복원하려는 의도가 투영되고 있다. 이 향약은 朱子의 「朱子增損呂氏鄕約」을 체제의 근간으로 삼고 栗谷 李珥가 선조 10년(1577)에 입안한 「해주일향약속」을 <附錄>과 <別條>의 형태로 수용하고 있다는 체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체제는 원론적 의미의 주자향약과 실무적 규정으로서 율곡향약의 조합이었다. 특히 율곡향약의 수용은 율곡과 이 지방 사림들의 인적·물적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것이었으며, 율곡향약의 변용이라는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강릉향약」의 조직과 운영은 율곡향약과 유사한 양상이다. 鄕案에 등재된 鄕員을 구성원으로 하고, 鄕會를 통해 규합되는 公論을 기반으로 지방사회의 자치적 운영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향원 상호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행위와 下民을 침탈하는 행위가 가장 무거운 벌칙으로 규제되며, 城主와 향원들의 의례관계를 관권우위의 질서로 정형화하며, 鄕吏 및 官屬의 민간 작폐와 品官 능욕행위는 留鄕所를 통해 규제되고 있다. 이로서 향원 자신들 중심의 지방사회의 자치적 운영질서를 구축하려는 성향을 지향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강릉향약」에서는 율곡향약에서 강조되는 유향소 결원에 대한 추천권․근면한 향리에 대한 추천권․부세 책정안의 조사권 등에 대한 내용이 배제되었고, 아울러 향회에서는 朝廷과 州縣 政事의 得失에 대한 논의가 일체 금지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자료상의 城主 手決에서 시사되듯 향약시행에 수령권이 크게 작용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약에서 政務와 敎化가 분리되는 것으로 이 시기 향약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며, 이후 교화 위주의 향약운영을 예고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The main material for this thesis is Gangneung Hyanyak which was written in Sunjo 33(1600). This is noted for the transformation of Yulgok Hyangyak.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system and the content to figure out the periodic character. Gangneung Hyangyak had the intention to restore the social order to its original state right after Imran. This had systematic basis on Jujajeungsonyeossihyangyak of Juja. In addition, Haejuilhyangyaksok devised in Sunjo 10(1577) from Yulhok Yiyi was accepted as the appendix and the additional clause. This kind of system was the combination of Juja hyangyak in principal and Yulgok hyangyak as the practical regulation. Especially, the acceptance of Yulgok Hyangyak was based on the human and material network of Yulgok and the community people, which meant the transformation of Yulgok hyangyak. The 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of Gangneung Hyangyak had similarities to those of Yulgok hyangyak. This hyangyak had Hyangwon registered in Hyangan as members. The operation aimed for the autonomous operational order of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public opinion gathered through Hyanghoi. The deed which could cause the conflict between members and plundering the people were controlled by heavy penalties. The formal relationship between Seongju and members was standardized following the government authority order. The Hyangri's evil effects to the people and civilian insult were regulated through Yuhyangso. So it could be said that Gangneung Hyangyak tried to establish the autonomous operational order in the community which was centered on themselves, in harmony with the government authority. In spite of these tries, in Gangneoung Hyangyak, the main content that was emphasized in Yulgok Hyangyak was deleted. That is, Yuhyangso and the right to nominate Hyangri and to investigate tax were excluded. Furthermore, in Hyanghoi, the discussion of gains and losses of national and local political affair was prohibited. This kind of aspect was because Seongju began to have an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of Hyangyak. It was suggested in the signatures of Seongju from materials. This suggested the separation of government affairs and edification in Hyangyak. This aspect was pointed out as the limit of sustainability of Hyangyak in that period. From then on, Hyangyak has been thought as the advance notice of change toward ed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