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먼저 율곡의 생평(生平)과 사상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이어 『정언묘선』에 대한 서지적 검토와 함께 중국시선집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정언묘선』의 편찬 의의를 고찰하였다. 『정언묘선』은 조선시대 문신이며 학자인 율곡 이이가 1573년 38세 때 편찬한 중국시선집이다. 서두에 「정언묘선서」가 있고, 이어 원자집 · 형자집 · 이자집 · 정자집 · 인자집 · 의자집 · 예자집 · 지자집 등 8개의 ‘자집(字集)’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집’마다 넉자로 된 풍격용어로 성격을 규정지었고, 그 풍격의 특성을 밝힌 짧은 서문이 본문 앞에 붙어 있다. 각 ‘자집’마다 오언고시 · 칠언고시 · 오언율시 · 칠언율시 · 오언절구 · 칠언절구 순으로 창작시기가 이른 시부터 수록되어 있다. 시제를 기준으로 총 402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위응물의 시가 47편으로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고, 이어 이백(41) · 두보(31) · 맹호연(20) · 유종원(17) · 왕유(15) · 유장경(11) 순이다. 『정언묘선』에 수록되어 있는 시들을 중국시선집 및 중국개인시문집과 비교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1) 한위진남북조 시의 경우 대부분 『풍아익』에서 시를 선하였고, (2) 당나라 시는 주로 『당음』과 『당시품휘』에서 시를 선하였으며, (3) 송나라 시는 『송예포집』과 각종 개인시문집에서 선하였다. 그렇다면 율곡은 왜 『정언묘선』을 편찬한 것인가? 율곡은 거짓과 수식을 일삼는 시를 바로잡아 시도(詩道)의 본원을 찾기 위해, 중국 역대 시 가운데 ‘가장 정(精)하여 법(法)으로 삼을 만한 시’ 400여 편을 선하여 여덟 개의 자집으로 만들었다. 여덟 개의 자집은 곧, 『역경』의 ‘원(元) · 형(亨) · 리(利) · 정(貞)’으로 표제(標題)를 삼은 뒤 각각 ‘沖澹蕭散[元字集] · 閑美淸適[亨字集] · 淸新灑落[利字集] · 用意精心[貞字集]’이라는 풍격용어로 성격과 가치를 부여하였고, 『논어』와 『맹자』의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로 표제를 삼은 뒤 역시 각각 ‘情深意遠[仁字集] · 格詞淸健[義字集] · 精工妙麗[禮字集] · 明道韻語[智字集]’라는 풍격용어로 성격과 가치를 부여하였다. 동시에 율곡은 충담(沖淡)한 시를 첫 번째에 둠으로써 시의 원류가 어디로부터 왔는지를 알게 하였고, 점차 뒤로 내려가 미려(美麗)함에 이르러서는 시의 맥락이 거의 참됨을 잃음에 가까워짐에 따라 도를 밝힌 운어(韻語)로 끝을 맺음으로써 억지나 거짓으로 흐르지 않게 하였다. 따라서 율곡의 『정언묘선』은 원형이정(元亨利貞)이라는 천도(天道)와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인도(人道)가 율곡의 차원 높은 철학적 심미의식의 발현인 풍격을 통해 시도로 통합된 조선본 중국시선집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first of all, Yoolkok(栗谷)’s life and his thoughts will be introduced briefly. Subsequently, compilation purpose of the Jungeonmyosun was considered by its’ bibliographic review and comparative research with Chinese poetry anthology. Jungeonmyosun is Chinese poetry anthology written in 1573 by Yoolkok Yi Yi(李珥) who is a scholar and politician in Chosun Dynasty. The book starts with the declaration of the Jungeonmyosun followed by Wonjajip(元字集), Hyeongjajip(亨字集), Ijajip(利字集), Jungjajip(貞字集), Injajip(仁字集), Euijajip(義字集), Yejajip(禮字集), Jijajip(智字集). In each jajip, Yoolkok has named with qualitative words in 4 letters such as Choongdamsosan(沖澹蕭散), Hanmicheongjeok (閑美淸適), Cheongshinshaerak(淸新灑落), Yongeuijeongshin(用意精深). In the Jungeonmyosun, total of 402 poems with each topics are included. Within the book, 47 poems by Wieungmool(韋應物) followed by 41 by Yibaek(李白), 31 by Doobo(杜甫), 20 by Maenghoyeon(孟浩然), 17 by Yoojongwon(柳宗元), 15 by Wangyoo(王維), and 11 by Yoojangkyung(劉長卿) are contained. After comparing poems from Jungeonmyosun with Chinese poetry anthology and Chinese Personal Poetry Literature, we have discovered a few significant characteristic. Firstly, most of the poems written in Han, Wee, Jin Dynasty, and South North Period were extracted from other poetry named Poongaick(風雅翼). Secondly, most of the poems written in Dang Dynasty was extracted from other poetry named Dangeum(唐音) and Dangsipoomhui(唐詩品彙). Lastly, most of the poems written in Song Dynasty was extracted from Songyepojip(宋藝圃集) and various personal poetry anthology.


本稿首先简单地介绍栗谷的生平与他的思想,然后将探讨《精言妙选》的书目情况,最后与中国诗选集进行比较研究,进而考察《精言妙选》的编纂意义。 《精言妙选》是与退溪李滉合称双壁的朝鲜中期学者栗谷李珥(1536-1584)在1573(宣祖6)年(时年38岁)编纂的中国诗选集。学界里一直称有5种版本, 但是笔者确认的版本共有三个,一个是首尔大学奎章阁一蓑文库本,还有两个是延世大学图书馆本(分别是木版本和笔写本)。综合这三个版本来看, 书眉上标有<精言妙选序>, 正文由元字集、亨字集、利字集、贞字集、仁字集、义字集、禮字集、智字集等8个‘字集’构成。每个‘字集’都用四字风格用语来规定其性格,并在本文开始之前附上说明其风格特点的简短序文。另外,每个‘字集’都是按照创作时期的先后顺序分别以五言古诗、七言古诗、五言律诗、七言律诗、五言絶句、七言絶句的形式来收录诗的。以诗的题目为基准来计算的话,总共有402篇诗被收录。其中,韦应物的诗最多,占47篇,其次分别是李白41篇,杜甫31篇,孟浩然20篇,柳宗元17篇,王维15篇,刘长卿11篇。除了这些著名的诗人之外,《精言妙选》里还收录了丘丹、孟迟、柳谈、刘沧、任藩、李归唐、朱放、秦系等诸多不具盛名的诗人的作品。 将《精言妙选》里收录的诗句与中国诗选集以及中国个人诗文集进行比较研讨后,发现以下几点特征。 第一,其中收录的关于汉魏晋南北朝时期的诗大部分是从《风雅翼》里提选出来的。 第二,唐诗主要是从《唐音》和《唐诗品汇》里提选出来的。另外还涉及到了律诗专门诗选集《瀛奎律髓》里的部分律诗,同时还活用了《文苑英华》等其它中国诗选集。 第三, 虽然存在从个人诗文集里挑选宋诗的情况,但是就是没有个人诗文集的诗人,可以看出是从《宋艺圃集》里选择宋诗的。如果说栗谷于1573年编纂《精言妙选》时,参考了《宋艺圃集》,那么被推测为于1567(隆庆丁卯)年之后完成的《宋艺圃集》,它的编纂年代至少也是在1573年之前。也就是说,可以把《精言妙选》看成是将《宋艺圃集》的编纂年代定于1567到1573年之间的一个旁证数据。 第四,栗谷在选择韦应物、李白、杜甫、韩愈、欧阳修、王安石、朱熹等的诗时,不仅参考了中国诗选集,同时还参考了相应的个人诗文集。其中,特别是韦应物的《韦苏州集》应该受到瞩目。虽然无法确知《韦苏州集》具体是何时传到朝鲜的,但是现在在首尔大学奎章阁韩国学硏究院里藏有它的朝鲜古活字本,另外,《精言妙选》里收录了47篇 韦应物的诗,其中几首只在《韦苏州集》里可以看到,鉴于以上两点,我们可以推测出《韦苏州集》应该是于1573年《精言妙选》编纂之前传到朝鲜的。 栗谷为什么参考在当时已经广泛普及的中国或朝鲜版本的中国文献编纂了《精言妙选》呢? 大部分诗选集通常都按时代、作者和诗体选诗,而《精言妙选》的选诗方法则有所不同。它主要根据美学观点选诗,即,按照根据栗谷自己审美意识体系划分的8种风格,从中国历代诗歌中最精而可法者中选取。《精言妙选》各集的8种风格,抓住《易经》里的‘元 亨 利 贞’概念,引以为标题,分别以‘冲澹萧散(元字集)、闲美清适(亨字集)、清新洒落(利字集)、用意精心(贞字集)’的四字风格用语来赋予每个字集的性格与价值;还抓住《论语》和《孟子》里的‘仁 义 礼 智’概念,引以为标题,分别以‘情深意远(仁字集)、格词清健(义字集)、精工妙丽(礼字集)、明道韵语(智字集)’的四字风格用语来赋予每个字集的性格与价值。同时,栗谷将‘冲澹萧散’的诗放在最开头,以便阐明诗的源流, 渐渐往下,诗的脉络流于矫伪,最后阐明‘明道韵语’来收尾,从而使诗至于真意。通过栗谷的高次元的哲学审美意识,《精言妙选》成为一本将‘精而可法’的诗道与‘元亨利贞’的天道及‘仁义禮智’的人道融合在一起的朝鲜本中国诗选集。栗谷的《精言妙选》是至今为止在朝鲜所编选的中国诗选集中非常优秀的诗选集,而且由于在中国还没有发现以四字风格用语为标准的诗选集,所以它必定会在与风格相关的韩国诗学研究以及中国诗学研究领域上起着非常重要的作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