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 이념과 체제의 대립인 남과 북의 분단현상을 극복할 통일 작업은 여러 측면으로 강구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전통사상인 유학, 그 중에도 율곡(栗谷 李珥, 1536-1584) 사상에 근거하여 강구하려 한다.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남과 북의 평화적 화합’만이 최상 최선의 방법임은 누구나 다 인정할 것이다. 평화적 화합에 의한 통일 성취가 본고의 대 전제적 명제이다. 그 화합을 이룰 수 있는 필요조건을 들어보겠다. 첫째 남과 북이 다 함께 ‘공존 공생의 의지’를 공유해야 한다. 이 요건은 율곡이 유학의 일부를 자기 사상화한 이른바 ‘성(誠)사상’, 곧 ‘진실 순수 정성’의 의미를 함축한 ‘성의 마음가짐’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런 마음가짐은 ‘상호신뢰’라는 인격적 감화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공존 공생 자체가 보편성을 띠었다고 할 수 있는 덕목인데다가, 우리에게 아직 잔유한 민족의식은 이 사고의 실천에 크게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남과 북의 화합을 위해서는 또 서로가 ‘상생(相生)의 길’을 터야 한다. 이 상생의 사고가 바로 율곡이 계승한 유학의 우주발생론 등에 깃든 “서로가 상대편을 존립케 하는 뿌리가 되어준다(互爲其根)”는 사고이다. 유학에서 사용되는 ‘서로 기다려준다’는 의미의 이른바 ‘대대(待對) 상수(相須)’로 불려온 개념의 성격이 또한 이 사고방식이다. 지금부터 상생 사고의 중요성 인식에 철저해야 함은 물론이고, 이것의 실효성 있는 실천이 요망된다. 그 실제 실천은 정신적 물질적으로 ‘상대를 도와줌(상부상조)’이 무엇보다 유효하다. 셋째 남과 북의 궁극적 화합은 나아가 율곡의 ‘언론자유’를 전제한 ‘공론(公論)에 의한 국시론(國是論)’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율곡은 사욕을 버린 공익(국익) 추구의 시각에서 국민 ‘모두가 스스로 옳다고 동의하는 것’을 공론이라 하고, 그 “공론이 있는 데에 국시가 있게 된다”고 했다. 그런데 이것의 구현에는 두 가지 요건의 충족이 필수적이다. 인간의 생태적 욕구로 상징되는 ‘민생 돈후 문제를 충족’시키는 한편, 정신적 욕구로 상징되는 ‘문화 창발 의욕을 원활히 충족’시킬 방안의 사상을 구비하는 작업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사상적 요건들 가운데 가장 지난한 것이 아닐 수 없다.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imed at resolving the conflict of modern ideologies and system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 be realized by different approaches. This study seeks to resolve the conflict based on Confucianism, or more specifically, the ideology of Yulgok (1536-1584). Peaceful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the most ideal form of reunification. This study is built on the premise that reunification should be achieved by peaceful means. The conditions for peaceful reunification are listed below. First, North and South Korea must share a determination for co-existence. This condition can be achieved using Yulgok’s ideology of “sincerity (誠)”, part of which was borrowed from Confucianism. It is this mentality, represented by values such as “truth, purity and sincerity,” that leads to the establishment of mutual trust. Second, North and South Korea must pave a road of “mutual life-improvement” for peaceful reunification. This mentality is based on the belief that “each acts as a root for the other’s existence (互爲其根),” which is inherent in Confucian cosmology. The meaning of “waiting for each other,” as used in Confucianism, is evident in the concept known as “daedae sangsu (待對 相須).”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tual life-improvement and to take practical measures accordingly. Practical implementation under the belief of mutual life-improvement is most effectively achieved by offering emotional and material aid to the other under the spirit of “interdependence (相扶相助).” Mutual life-improvement, seen as universal virtue, can be adopted based on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at still remains in us. Third, ultimate harmon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an be supported by Yulgok’s public opinion-based national policy theory, which assumes the freedom of the press. Yulgok defined public opinion as that which is regarded as right and agreed upon by all citizens; he saw public opinion as the basis of national policy. Here, there are two pre-requisites: the satisfaction of ecological desire, represented by public humanity, and th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desire, represented by cultural creation. Thus, this is the most difficult among the aforementioned ideologic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