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김장생(1548-1631)․송시열(1607-1689)을 중심으로 기호학파의 퇴계관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김장생은 주희의 정론과 이이의 해석에 근거하여 학술적 명제를 정립했는데, 이를 통해 이이를 현창하신 대신 이황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것은 본체론에 기운 학문적 진리탐구와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이이는 장수하지 못하여 주자학 제 분야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에 송시열은 그 부족함을 보충하기 이황의 연구 성과를 학습하고 계승했으며, ‘퇴계의 학문은 가장 폐단이 없다’라고 언급했다. 김장생과 송시열의 주장을 언뜻 보면, 전자는 이이를 현창하고, 후자는 이이와 더불어 이황도 함께 높이고자 하여 마치 이황에 대한 평가가 상반되는 것 같이 느껴진다. 그러나 단순히 상반된다고 결론지을 수 없다. 김장생과 송시열은 조선의 도통을 정몽주 → 조광조 → 이황 → 이이로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하여, 자신들은 이이뿐만 아니라, 이황을 이었다고 사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호학파에서 학술적・정치적 측면에서 이황 비판을 전개했지만, 이러한 비판을 근거로 안이하게 그들이 이황을 낮게 평가했다고 결론지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Paper is research for Kim Jangsaeng(1548-1631) and Song Siyeol(1607-1689) centering around Kiho school’s Understanding of Toegye Lee Hwang(1501-1570). Kim founded a academic thesis based on Zhuxi’s theory and Lee Yi(1536-1584)’s interpretation, so he admired Lee Yi but criticized Lee Hwang. On the other hand Song not only admired Lee Yi but also respected Lee Hwang, because Lee Yi didn’t live a long life, Song thought his theory and interpretation of Zhuxi’s philosophy was not enough and made up for the lack by Lee Hwang’s theory and interpretation, and mentioned that Lee Hwang’s theory and interpretation didn’t have a evil. It is seems liked that Kim and Song’s understanding of Lee Hwang were contrary to each other, but it is concluded being contrary to each other. Because Kim and Song’s succession to Confucian legitimacy were Jeong mongju→Jo guangjo→Lee Hwang→Lee Yi, both acknowledged succession to Lee Hwang as well as Lee Yi. In addition, Kim’s criticizing Lee Hwang was related of ontology. Thus It simply don’t conclude low evaluation of Lee Hwang’s theory and interpretation in Kiho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