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사관생도들이 지각하는 안보의식의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안보의식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사관학교 사관생도들을 대상으로 3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했다. 1단계에서는 90명의 생도들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배부하여 안보의식 높은 생도의 행동특성을 기술하도록했고, 2단계에서는 1단계의 설문분석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안보의식을 측정하는 45문항을 개발했다. 3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하고 242명의 생도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적합한 11문항을 삭제한 후 총 35문항을 확정했다. 35문항은 안보상황에 대한 관심, 직업적 정체감, 애국심, 항재전장의식, 대적관, 정신보안 등 여섯 개의 요인에 부하되었고, 여섯 개의 하위요인은 안보의식이라는 일반요인에 부하되었다. 이어서 추출된 요인의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47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6개 요인은 35개 문항에 대해 타당성 있게 인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관생도들은 일반 국민이나 대학생들보다 안보의식을 군사방위태세에 더 많이 연결시키며, 직업적 자아정체감의 한 부분으로 인식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 to assess the Korean military cadets'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by performing factor analyses. To best accomplish the purpose, total 720 cadets of K military academy were sampled and this study were implemented by three stages. First, 90 cade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adets who seem to have high level of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At the second stage,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45 items that were composed based on the descriptions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Finally,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42 military cadets for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478 cadets fo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perceived by Korean military cadets was consisted of six factors: interest in national security, vocational identity, patriotism, readiness for combat, consciousness of emulation, and consciousness of counterespionage. All six factors were converged to the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as a general factor. The results suggest that military cadets have stronger sense of readiness of combat for national security than civilian people do and they tend to be concerned with the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as a basis of the vocational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