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의 지역통합 움직임을 EurAsEC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성과와 한계 및 향후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려는 데 있다. 다음 절에서는 EurAsEC 창설의 배경과 경위, 그리고 경제협력의 초기조건과 내용을 살펴본다. 그 다음에는 EurAsEC의 발전과 문제점을 관세동맹으로의 발전과 EurAsEC의 확장과 그 문제점을 통해 검토한다. 결론에서는 앞서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향후 EurAsEC의 발전에 대해 나름의 전망을 할 것이다.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지역통합이 실현되기까지는 상당히 많은 장애가 존재하지만, 이 지역의 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성공적이고 유망한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하면, 그것은 EurAsEC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지역구성을 달리하는 국가들이 결성한 상하이협력기구(SCO) 등과는 달리, EurAsEC 참가국은 모두 구소련 구성공화국이며, 소련 시대에 형성된 산업 연관이나 비즈니스 관습, 공통어인 러시아어 등 각국에 공통점이 많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 국가로서도 EurAsEC은 압도적인 경제력을 자랑하는 러시아와의 협력을 실현하는 틀이기도 하기 때문에 EurAsEC을 통한 지역협력에 역내 국가의 대응이 주목되는 것이다. 동 기구가 거의 아무런 구체적인 성과를 낳지 못한 문서작성 회담에 불과한 또 다른 CIS가 될지, 아니면 유라시아의 EU로 방향을 잡아갈지는 앞으로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