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윤제홍의 <송하관수도>는 조선조 후기 문인화의 시대적 경향을 대표하는 산수인물도로서 특히 필법에 있어 독보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송하관수도>에 관한 연구는 매우 피상적이어서 그 독보적 필법에 관한 구체적 연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이는 윤제홍 문인화의 내용과 표현이 중세 동북아적 담론의 영역에 있어서 오늘날 우리가 그 의미를 인식하고 감상하기에는 이미 낯설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송하관수도>를 비롯한 윤제홍의 문인산수화를 우리 시대의 미감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창작주체인 윤제홍이 견지했던 배경이론으로서 ‘천기론’과 그에 의한 필법의 형성과정을 작품분석을 통하여 조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참조체계에 의한 작품분석은 윤제홍 문인화의 의미를 보다 확장 시킬 것이다.


Yoon Jae Hong's <Songhakwansudo> as a landscape <abtract> painting which represent the tendency of the times of late Chosŏn empire a literati painting express uniquely especially about the penmanship. However, since until now the study about <Songhakwansudo> was very superficial, there is almost no specific study about the unique penmanship. This is because, today, the content and expression of Yoon Jae Hong's literati painting is already too unfamiliar to perceive and appreciate for us in the area of the middle ages in the Northeast discussion. This paper intends to take a view of ‘Secret Nature Theory’ as a background theory which Yoon Jae Hong as a creative subject maintained and the formation procedure of penmanship by the ‘Secret Nature Theory’ through work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Yoon Jae Hong's literati painting including <Songhakwansudo> as an aesthetic sense of our era. A work analysis like this kind of a reference system will newly expand the meaning of Yoon Jae Hong's literati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