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아랍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통적인방식으로 문법 설명과 연습 문제 풀이에 중점을 두고 학습한 집단과어휘적 접근 방식에 기반한 의미 단위화와 소리 내어 읽기를 적용한집단 간의 문법과 어휘 능력 그리고 정의적 측면에 있어 차이가 있을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의미단위화와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아랍어 수업이 문법과 어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있다. 이를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통번역학과 1학년 2학기수업을 마친 아랍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차시별 수업 설계를 달리하여, 실험 집단의 수업을 문법 수업과 어휘수업으로 구성하고 수업 자료를 의미단위로 제시했다. 실험 집단은 각 교재의 예문을 가지고 의미 단위화하고 소리내어읽기 활동을 하였다. 문법 교재의 예문은 문법의 구조가 드러나게의미 단위화하여 자료를 제시하였고, 어휘 수업을 위한 교재의예문은 의미 단위로 제시하였다. 각각의 목적에 부합하게 의미 단위화한 예문들은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해 학습하였다. 그리고 수업전과 후, 실험자들의 문법 및 어휘 능력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기위해 테스트를 하였고, 문법과 어휘 외의 아랍어의 기능에 미치는영향 및 아랍어 학습 방향 제시에 관한 변화는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도출했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과 어휘 능력을 평가한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를살펴보면, 실험 집단의 사후 평가가 사전 평가에 비해 높게 나타나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교 집단의 평가 점수 역시 사전에 비해사후 평가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두집단 간의 사후 평가를 비교해보면,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연구자가통제반의 사후 평가의 난이도는 사전과 비슷하게 측정한 데 비해, 실험 집단의 사후테스트의 난이도를 높게 측정하여 제시한 데에따른 결과로 보여 진다. 둘째, 의미 단위화한 자료를 소리 내어 읽기 학습한 문법 및 어휘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은 아랍어 공부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고, 어휘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셋째, 연어 학습을 통해 문장을 연어와 단어 뭉치 단위로 인식할수 있어 문장 구조 파악이 쉬워지고, 단어의 쓰임새를 정확히익힘으로써 해석이 용이해져 읽기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 또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통해 억양 및 발음을 함께익히고, 자연스레 의미 단위를 파악할 수 있어 듣기와 말하기 기능에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단어의 의미를 단순히 따로 떼어내서 읽고 암기하는 방식이 아니라 실제 언어생활에서 우리가 어휘항목을 덩어리로 인식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아랍어 교육에 있어의미단위 중심의 어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보다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unking and reading aloud as Arabic teaching method which can improve Arabic grammatical and lexical ability of AFL learners. An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on two groups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tudents for 4 weeks, 20 hours in total. The lesson for each group was composed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of the lesson, both groups learned Arabic grammar with different treatments. Comparative group learned Arabic grammar only with the grammatical explanation and experimental group learned chunked sentences of meaningful units or syntax structure units while reading those aloud. In the second part of the lesson, comparative group solved problems related to the contents taught in the first session. However, experimental group learned Arabic verbs with Arabic collocation dictionary. In common with the first sessio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ad the example sentences aloud agai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considerable improvement while those in comparative group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Second,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read chunked sentences aloud during the experiment, showed more interest in studying Arabic language in general and active attitude in learning Arabic vocabulary. Also, it is observed that the way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helps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sentences while reading and to learn both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hile listening and speaking. Lastly, learning with collocation improves Arabic reading skills of students since it enables students to grasp the real meaning of the vocabulary in given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