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0년 아랍의 봄 이후, 중동 및 이집트를 중심으로 북아프리카의 많은 국가들은 선진국이나 다른 지역의 저개발 국가들보다 빠르게 경제를회복하였다. 또한 이집트를 중심으로 북아프리카 국가중심의 지역내 경제협력이 가속화되고, 2014년 하반기 이후 국제유가의 급격한 하락으로,경제회복이 빠르게 이루어진 측면이 있다. 이처럼 빠른 경제회복 이면에는 이집트를 포함한 북아프리카의 주요국의 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육성정책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노동집약적인 산업위주에서 어느 정도 기술력을 필요로 하고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이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이집트의 주요 산업부문 성장은 한국기업과 정부의 많은 관심을끌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집트는 아세안, 중동 다음의 주요 신흥시장이기때문에 최근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차원에서도 자원이 풍부한 이집트와의 경제협력을 통하여 신성장동력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려고 하고 있다. 특히, 이집트는 한국의 원유수입국 및 25대 교역국임과 동시에 북아프리카 최대 경제규모를 갖고 있으며, 에너지 안보차원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로서도 전략적 협력의 필요성이 매우 큰 국가이다. 포스트 오일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장기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경제 및 사회인프라를 재구축하는 하는 등 대외적 여건이 성숙된 상황에서 북아프리카의 대표적인 국가중 하나인 이집트의 수요에 부응한 새로운 협력모델제시는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협력관계 구축은 과거 경제적 이익만을 추구하기 위해북아프리카 지역에 진출한다는 오해를 불식하고 상호 소통하는 장기적인신뢰관계를 구축하는 계기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우리의 경쟁력과 이집트의 산업 수요에 입각한 경제 협력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이를 위해 양국 간의 경쟁력 있는 보완요소를 적절히 활용하여 과거의석유 및 천연가스 및 석탄프로젝트 위주의 협력관계에서 인력, 과학, 문화 등 다양한 경제협력을 통한 경협규모의 다변화와 더불어 포괄적 경제협력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對이집트와의 경제협력 전략을 마련할필요가 있다. 이집트와 한국의 인프라, 에너지(원유, 태양광, 원전), 인력, 과학, 문화 등 다양한 경제협력을 통한 포괄적 경제협력은 정보공유, 상호 기술및 인적교류를 통한 경쟁력 극대화, 사업 공동추진 등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집트는 한국의 우수한 기술을도입하여 비석유제조업 발전을 통한 산업다각화, 인적자원 및 기술 개발,인프라 개선, 지식경제화를 통하여 장기 경제발전 계획을 앞당기는 것은물론, 한국을 통한 아시아 지역 진출 교두보를 확보하여 자국의 경제협력정책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국은 이집트와 관계 강화를 통한 에너지 안보(원유 포함, 태양광 및원자력)에 기여함은 물론 우리 기업의 북아프리카 시장진출에 안정적인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전문 인력 진출 및 이슬람 및 화교 금융자본유치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호 교류 확대를 통해다양한 분야에서의 프로젝트 수주가 가능하고, 다양한 프로젝트 관련 현지 정보가 적시에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의 산업 및 경제개발은 각 부문별 국가 중장기 개발계획으로 구성된 국가경제사회개발계획을 통해 추진되어 왔다. 특히, 1980년대에는원유, 천연가스 및 섬유·의류 등 노동집약적 경공업을 중심으로 수출주도형 산업구조가 형성되었고 1980∼90년대 산업화로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정착된 이집트는 2000년대에도 관광 및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확대·심화되고 있다. 자동차산업은 전기, 전자 및 관광산업과 함께 이집트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산업으로 기계는 물론 전기, 전자, 화학, 에너지 등 다양한 연관 산업의 성장을 이끌어낸 이집트 제조업의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아랍의 봄 이후 이집트의 산업정책은 전기전자, 자동차 중심의 주요 제조업 육성 전략에서 첨단기술 및 지식기반 산업으로의 전환에 초점을 두고 있다. 대표적인 분야가 자동차, 관광, 문화컨텐츠 산업으로 첨단기술과 문화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지식기반산업을 적극 육성중이다. 향후 이집트 주요 산업정책은 첨단기술, 문화, 지식산업 기반의 녹색성장산업 및 문화컨텐츠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녹색성장산업의 경우 바이오연료, 수력, 풍력, 원자력 등 신재생 녹색 에너지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 개발해 역내 녹색 성장 분야의 선도적 위치를점한다는 전략을 적극 추진 중이다. 한국과 이집트와의 산업협력의 기본방향은 크게 다음과 같이 방향에서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단기적 성과와 더불어서 장기적 성과 중심의 경제협력이다. 이집트의 시장은 인구 9000만명의 거대한 시장으로서 잠재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단기성 사업에서 협력과 더불어서 장기적 안목에서 접근하여 장기적으로 상당한 성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중장기적으로 산업 및 경제협력을 통한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것이다. 한국과 이집트와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해야 하는 입장이다. 한국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하며, 이집트 역시 향후 6%이상의 경제성장을 추진하여 빈곤층 축소는 물론 일자리 창출 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상호보완적 경협의 추진이다. 한국과 이집트는 매우 상호보완적산업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양국의 비교우위를 절대적으로 활용할 수있는 경제협력을 추진한다면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제조업(IT, 전자, 조선, 자동차) 등 소프트웨어 및하드웨어부문에 상당한 경쟁력을 갖고 있고, 이집트는 저렴한 노동력을풍부하게 갖고 있는 것은 물론 원유, 천연가스를 비롯한 원자재관련 산업들은 성장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집트와의 경제협력은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이집트 및 북아프리카 2개국 시장의 선점의 기회 확보 협력 체제 구축이다. 이집트를 중심으로 북아프리카 2개국은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의 향상으로 소비시장으로서 잠재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집트와의 경제협력을 통해 북아프리카 2개국시장으로의 진출은 한국기업들에게 선점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회를 이용하여 이집트 및 북아프리카 2개국시장 선점하여 기반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장기적으로 세계시장에 동반 진출 가능한 협력체제 구축이다. 이집트는 지역적으로 북아프리카는 물론, 중동, 유럽을 연결할 수 있는지정학적 요충지이므로, 이집트진출은 한국기업들에게 단순하게 선점의기회만이 아닌 주변 지역을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될 수 있다. 특히이집트의 경쟁력 있는 부문(정유, 원유, IT, 관광, 자동차 및 노동집약적산업)과의 협력을 통하여 얻은 기술개발 및 협력으로 주변 지역에 공동진출하여 북아프리카 2개국과 한국간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gyptindustry since the Arab's spring. The overall economic cooperationwith South Korea was undertaken to explore through the EFE Matrexwith IFE Mtraix and SWOT analysis. Our nation, which under wentoil crises in the past, has been committed to development ofalternative energy sources. Especially among many things, thegovernment has thrown all possible efforts and resources to thedevelopment of nuclear power technologies. Basic directions of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Egyptand is greatly to be done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long-termeconomic cooperation is important. Second, to achieve long-termeconomic growth through industrial and economic cooperation. Third,both countries will have to make a profit promoting economiccooperation. Fourth, the economic cooperation to ensure the NorthAfrican market. Fifth, the long term, to advance to the global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