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새로운 임상(치료)의 장으로 등장하고 있는 인문치료와 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천에 내재한 라깡정신분석과 자아심리학의 뒤섞임이라는 혼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정리해보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과 실천의 본원적인 관계, 라깡정신분석에서의 이론과 임상의 관계, 자아심리학과 라깡정신분석의 관계에 대해 들뢰즈의 관점을 경유하여 고찰해 본 뒤, 현재 한국의 상황에서 라깡정신분석에서 이론과 (임상적)실천의 가능한 형태를 모색해 봄으로써, 인문(예술)학과 라깡정신분석/자아심리학의 이론/실천을 연계하려는 노력들이 어떠한 방향성 하에서 구분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인문(예술)학이 라깡정신분석에서 차용할 임상(치료)모델이 존재하지 않는 현재의 상황에서 인문(예술)학과 라깡정신분석이 그 실천영역에서 공존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은 인문/예술체험과 라깡정신분석의 연계에 대한 노력이 되며, 반대로 임상적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는 자아심리학에서 인문(예술)학은 임상(치료)모델을 차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문/예술학의 임상적 실천의 방향은 향후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로 명확히 구분될 필요가 있다. 1. 라깡정신분석으로의 연계 : 문학/예술체험 자체가 지닌 정신분석적 능력은 무엇인가? (문학/예술체험의 정신분석적 요소) 2. 자아심리학으로의 연계 : 문학/예술을 매개로 사용하는 자아심리학적 심리상담치료 (문학/예술치료의 자아심리학적 접근)


This article was proposed to resolve the confusion of cinema therapy and poet therapy related to Lacanian psychoanalysis and ego psychology. For this proposal, I discussed about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in Lacanian psycho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canian psychoanalysis and ego psychology through Deleuze's concept about theory and practice. As a conclusion, I would like to insist that the dire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cinema therapy and poet therapy sh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relation to Lacanian psychoanalysis, what is the psychoanalytic power in cinema and poet experience, psychoanalytic elements of cinema and poet experience. The other is relation to ego psychology, ego psychological therapy using cinema and poet as a medium, ego psychological approach of cinema and poet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