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라깡의 정신분석이론에 푸코의 관점을 도입하여 정신분석에서 이미지의 위상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지형도를 얻고자 기획되었다.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벨라스케즈의 <시녀들>을 분석하며 가시성과 결부된 공간을 가시적, 상호가시적, 비가시적 공간들로 구분하였으며, 여기서 비가시적 공간이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결정적인 계기를 찾아내고 있다. 푸코가 가시성을 중심으로 분류한 공간을 일종의 이미지라고 생각한다면, 푸코의 통찰을 라깡의 위상학에 적용해 볼 수 있다. 이때 가시적 공간은 상상계적 이미지에, 상호가시적인 공간은 상징계적 이미지에, 비가시적인 공간은 실재계적 이미지에 연결된다. 여기서 비가시성이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계기는 실재계적 이미지와 상상계적 이미지, 상징계적 이미지가 만나는 접점이라고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푸코에게서 그 실마리는 바로 거울인데, 이는 묘하게도 라깡의 ‘거울단계’와 유사한 기표적 뉘앙스를 풍긴다. 이미지는 언어로 환원 될 수 없는 자신만의 영역에 있기 때문에 ‘말’ 그리고 ‘문자’와는 다른 차원의 것이며, 그래서 이미지를 언어로 옮기거나 해석하려는 시도는 실패하게 된다. 이미지는 언어가 넘어가지 못하는 상징계의 경계를 넘어 마치 보로매우스의 매듭과도 같이 주체에게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하나로 연결시켜 주는 독자적인 위상학을 지닐 수 있다.


This article was proposed to discuss the topology of image in psychoanalysis. In order to explore image in psychoanalysis, I have related Foucault's concept to Lacan's psychoanalytic theory. Foucault introduced three spaces examining 'Las Meninas'. They are the visible space, the inter-visible space, and the non-visible space. Foucault found the critical moment at which the non-visible space becomes visible. I applied Foucault's theory of space to Lacan's topology. In this application, the visible space was linked to image of the Imaginary, the inter-visible space was linked to image of the Symbolic, and the non-visible space was linked to image of the Real. As a conclusion, this paper asserts that the image is different from language, and thus one is not reversible to the other and that it is the image that link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As such, the possibility implied within the topology of the image in Lacanian psychoanalysis can be further expl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