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에게 자신의 죽음에 대한 지향성이 있다는 것은 인간을 동물과 구별시키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라깡은 자신의 생애 전반에 걸쳐, 인간에게 잠재된, 죽음에 대한 지향성의 기원을 자연과 문화의 접경에서 찾았다. 본고는 그 중에서도 1930년대 라깡의 초기 저술인 『가족 컴플렉스』를 통해 소위 ‘상상계’라는 관점에서 어떻게 죽음에 대한 지향성이 인간에게 내재화되는지를 주목했다. 이에 따르면 인간은 ‘원초적인 조산성’을 타고난 존재로서, 자연에 대한 자연적인 적응이 불가능하다. 인간은 생명 활동의 불충분함을 상상적인 것에 속하는 이마고를 통해 보완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인간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새로운 이마고의 필요성 속에서 이전의 이마고는 승화되어야 하다. 라깡은 이러한 승화에 대한 주체의 거부와 승화 이후에 남아있는 옛 이마고의 잔재에 대한 고착 속에서 죽음에 대한 지향성이 출현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는 ‘형제 콤플렉스’에 기인한, 동일시에 부차적인 공격성 속에서도 죽음에 대한 친화성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Dans Les Complexes familiaux, Lacan affirme que l’être humain est destiné à souffrir de la division primordiale à cause de sa prématuration biologique à la naissance, et qu’il mène par conséquent sa vie subjective en la suturant de façon imaginaire. De ce processus de suture dérive une aspiration à la mort. Mais il y a plusieurs niveaux d’imago où se déclenche l’aspiration à la mort. Le développement humain présuppose le renouvellement de l’ancienne imago par la nouvelle. Si le sujet résiste à ce renouvellement qu’on appelle la sublimation, pour tenir toujours à l’ancienne imago, cette dernière vient à contenir une tendance mortelle. D'abord, Lacan trouve cette tendance dans l’imago maternelle non sublimée par l’imago paternelle, et élucide le lien entre l’imago de la mère, du corps maternel, et la tendance à la mort dans la civilisation. Mais même dans le cas où la sublimation réussit, il reste toujours un résidu non sublimé. Lacan insiste sur le fait que la sublimation laisse le résidu de l’ancienne imago comme un facteur mortel derrière la gloire de la culture grandiose. Enfin, il y a un niveau où Lacan articule l’agressivité déclenchée par la rivalité latente dans l’imago fraternelle, et la pulsion de m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