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essay aims to explore a sexual-politics that Beatrice-Joanna's unfathomable desire may disclose in her relations to other male characters such as Vermandero, Alsemiro, and De Flores, in Thomas Middleton and William Rowley's early modern drama The Changeling (1622). For this inquiry, I employ the psychoanalytic theories of Sigmund Freud and Jacques Lacan, especiall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ntasy and the real, the theories about hysteria and the discourse of the hysteric.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speculations on human desire would shed light on my investigation about how male narcissistic fantasy of mastering the Other (sex) is enacted throughout the play and, at the same time, how the (mis-)belief is undercut by the female protagonist's elusive discourse, reminding the audience or the reader of the discourse of the hysteric in Lacan's sense. Arguably, the intangibility informing Beatrice-Joanna's discourse like the traumatic real or riddle of anxiety-provoking question Che Vuoi? (What do you want?) in Lacan's sense persists in accusing and disrupting the male narcissistic fantasy of mastering the Other (sex) and, accordingly, contains a sexuopolitical significance striking enough to lead the audience to keep her or his critical distance from male-dominant, patriarchal reality.


이 논문은 토마스 미들튼(Thomas Middleton)과 윌리엄 로울리(William Rowley)의 『바꿔친 아이(The Changeling)』(1622)에서 베아트리스-조애나(Beatrice-Joanna)의 알 수 없는 욕망이 버만데로(Vermandero), 알세미로(Alsemiro), 드 플로레스(De Flores) 같은 남성 인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드러내는 성-정치학을 탐구하려 한다. 이 연구를 위해 필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자끄 라깡(Jacques Lacan)의 이론, 특히 환상(fantasy)과 실재(the real), 히스테리(hysteria) 이론, 히스테리 담론(the discourse of the hysteric)에 관한 이론을 활용하려 한다. 인간의 욕망에 대한 프로이트와 라깡의 이론적, 실천적 숙고는 타자(성)을 지배하고 있다는 남성의 나르시시즘적 환상이 극을 통해 어떻게 전개되며, 동시에 어떻게 그런 (잘못된) 믿음이 여성 주인공의 파악하기 힘든 담론―관객이나 독자에게 라깡적 의미의 히스테리 담론을 연상시키는 담론―에 의해 전복되는지에 대한 필자의 탐구에 많은 빛을 던져 줄 것이다. 주장하건대, 라깡적 의미에서 불안을 유발하는 질문(“당신은 무엇을 원하십니까?”)이 지닌 외상적 실재(the traumatic real) 혹은 수수께끼 같은 베아트리스-조애나의 담론의 특성인 “파악하기 어려움”(elusiveness)은 타자(성)을 지배한다는 남성의 나르시시즘적 환상을 끊임없이 고발하고 전복시키며, 따라서 관객이 남성지배적, 가부장적 현실에 대해 비판적 거리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목할 만한 성-정치학적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