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효과적인 수업 관찰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19명의 예비 지리교사들이 자신들의 모의수업과 수업실습에서 무엇을 어떻게 관찰하고 평가했으며, 반성적으로 실천했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들의 모의수업에서는 평가방법 개발, 수업자료 개발, 수업목표·의도제시, 교수학습방법 활용을 잘 관찰하였고, 교과과정 재구성, 수업설계, 수업목표·의도달성, 교육적 변환은 상대적으로 잘 관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관찰·평가는 중립적이고 의도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관찰·평가 능력의 개인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의 모의수업 수행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관찰·평가되었다. 셋째, 모의수업에 대한 평가 결과와 그에 대한 반성 태도는 긍정적이었다. 반성의 초점은 수업의 부분적인 구성 요소에 집중되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수업모형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다는 것에 집중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업실습에서는 수업의 전체적인 분위기나 흐름을 관찰하기 시작했으며, 학생에 대한 이해와 관찰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반성적 실천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체험하였다.


The so important aspect of a geography teacher’s training is being able to observe effectively teaching practices for their practical knowledge developmen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19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observation and reflection on their micro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for a good teaching. Major conclusions are suggested below as follows. First, they are good at observe on assesment method development,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teaching aims presentation, and use of teaching models. While they are poor at observe on reconstruction of subject matter, reach a teaching aims,teaching design, and didactic transposition in peer’s microteaching. Second, their attitude of observation·evaluation was neutral·intentional and their individual variation was considerable difference. Relatively, female’s teaching levels was more high than males. Third, they have a positive about assessment result and attitude of reflection. Their self-reflection were focused on teaching components as a teaching model and weak of interaction. Finally,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ey began to observe on a classroom climate and they are attained observations and comprehensions on students in actual context. Moreover, they are experienced that reflective practice is very diffic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