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학교의 변화와 개선을 유도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은 계속 강조되는 추세이지만, 어떻게 하면 그러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수 학교장을 확보할 수 있는가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 초·중등 우수 학교장의 리더십 행위 및 학교조직의 특성, 인성 및 사고 특성, 리더십 형성과정 등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외에서 수행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우수 학교장 개념을 정의하고 분석틀을 정립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명의 초·중등 학교장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구조화된 심층 면담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수 학교장들은 리더십 행위, 부임한 학교의 특성에 부합하는 과업 추진 등에서 공통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인내심, 도덕성, 타인에 대한 배려 등의 사고 특성을 지녔고, 학교나 교장, 교사 등의 역할과 사명에 대한 뚜렷한 관점을 토대로 확고한 경영관을 확립하고 있었다. 리더십의 형성에는 교감직 수행과 같은 공식적 경험보다는 개인적, 비공식적 활동이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 우수 학교장이 되려면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조건 속에서 과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리더십 역량을 길러야 한다는 점, 한국 우수 학교장의 리더십 행위나 인성적 특성은 외국의 성공적인 학교장 사례 분석 결과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 그리고 우수한 학교장을 단위학교에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학교장 자격연수, 선발, 임용 등의 인사제도가 개선되어야 하며 이미 교장직을 수행하고 있는 현직 학교장에 대해서도 리더십 개선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를 얻었다.


The importance of principal leadership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a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principals in terms of their leadership behaviors, personality, management philosophy, views on teachers and school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leadership formation. As a qualitative study, the school context, where principals exercised their leadership, was closely analyzed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15 successful principals were identified as the subject of study through recommendations by the offices of education. 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collect data. The analysis showed that successful principals revealed common leadership behaviors in decision-making, overcoming challenges and resolving conflicts. They possessed keen diagnostic ability, which enabled them to prioritize and carry out the tasks requiring most attention. Patience, morality, thoughtful consideration of others were found to be common personality. The management philosophy was firmed embedded in their daily practices, which was student-centered and curriculum-centered. The formation of their leadership, however, was more strongly influenced by a series of informal and individual experiences rather than formal pre-service or in-service education. Successful principals in Korea were characterized as self-managers, vision and mission creators and change agents. Based on the findings,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were drawn to shed light on the improvement of principal lead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