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교육 영역에서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교육개혁 주제인 ‘학생중심교육, 교육의 다양성, 교사능력변화, 근무여건개선, 교육격차해소, 교육연구환경개선’ 요인들의 효과가 ‘교사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통하여, ‘학교와 교사의 정책실천 효과성’에영향을 준다는 각 가설들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개발된 구조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 수정된 구조모델은 적합한 모델로서 받아들여 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교육개혁 안은 특정한 정부의 고유한정책이라기보다는 과거와 미래의 교육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구성되고 실행과정에서 실용적인 관점이 추가된 것이다. 둘째, 교육개혁은 평등 혹은 수월성이라는 이분법적가치로 추진되기 보다는 과거와 미래의 교육 현장을 지속적으로 점검ㆍ예측하고 문제를해결해 나가는 관점을 취해야 하며, 학생의 발전이 우선이라는 교육적 가치에 대한 고려를 통하여 교육개혁정책이 실행되어야 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것이다. 셋째, 교육개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교육개혁에 대한 실천 행위까지 잘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교육개혁에 대한 자발적 행위를 위하여 추후의 교육개혁 안에는 교사의 순차적 행동 방식이 제시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교육개혁에서 교육의 다양성을 위한 준비와 지원은 교사들에게 업무부담이 증가될것이라는 부정적 인식을 심어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부의 교육개혁 정책은 급격한실시에 목표를 두기보다는 장기적 계획과 호흡을 가지고 철저하게 교사들에 대한 설득과이해를 바탕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presents a comprehensive model of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centered education, educational variety, teacher's ability, job environment innovation, solving the educational gap, educational environment innovation,teacher's cognition, teacher's behavior, teacher effectiveness and school effectivenes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was used to test a theoretical model with one sample that was comprised of 588 elementary teachers in Kyungsangnam-Do, Korea. To analyze the model, this study addresses complexity-laden educational reform issues with respect to teachers' perceptions of effectiveness structure. After reviewing past research and using factor analysis, this research confirms the existence of ten latent variables in teachers‘ perception. The model developed has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scale reliability. Finally, modeling techniques shows that the parameter estimates developed from the sample. In the model test, the final model fit was acceptable in considering almost model fit indice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