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위계적 선형 분석을 통해 교사 개인 및 학교에따라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고, 그 차이가 교사 및 학교의 어떤 특성에 따라 설명되는 지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학교 간 변량보다는 학교 내 변량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 수준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개인적 교사효능감(교수관련, 생활지도관련), 직업 몰입, 학생들의 배움에 대한 자세, 동료교사에 대한인식, 과업 지향적 교장 리더십, 동료교사와의 대화 정도였다. 셋째, 학교 수준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동료교사 간 협동, 과업 지향적 교장 리더십, 학교 소재지, 평준화 지역 여부였다. 넷째, 전체 설명량의 대부분을 배경 변수군보다는 변화가능 변수군이 설명하고 있었기 때문에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고정적이라기보다는행정가의 정책적 노력에 따라 제고될 수 있는 사회심리적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 and school level factors that influence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he teacher and school data were from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KELS 2005).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between individual teachers is much bigger than that between the schools. Secondly, the factors that influence significantly o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teachers are those: the level of individual teacher efficacy, professional commitment, students' learning attitude, perception of colleague teachers, conversation among colleague teachers,principal's task-oriented leadership. Thirdly, the factors that influence significantly o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n the dimension of school organization are those: the level of cooperation among colleague teachers,principal's task-oriented leadership, urbanicity, standardization of high schools. Fourthl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s changeable socio-psychological variable that can be improved by administrator's effort. It is not unchangeable. Because the most of total R² is more explained by changeable variable group(independent variables) than background variable group(controlled variables).